포스트메이트

KICPA 01 - 감사본부 회계사의 이야기 (1) 회계감사

KICPA 01 - 감사본부 회계사의 이야기 (1) 회계감사

네이버 블로그 · 2024년 7월 24일

어느덧 회계법인에 입사한지 6년이 다 되어가는 이 시점에 감사본부 회계사로서의 일상을 공유해보려고 합니다. 우선 회계법인은 크게 감사본부, 택스본부, 딜본부로 나누어져 있고 주요 업무는 아래처럼 간략하게 요약할 수 있습니다. 감사본부 - 회계감사, 각종 PA(Private Accounting)업무택스본부 - 세무조정, 세무조사 대응, 경정 청구 등딜본부 - 재무실사, M&A, 가치평가, 부동산, 인프라 컨설팅 업무 등등 저도 회계사 시험에서 2차과목인 회계감사를 접하기 전까지는 각 본부에서 회계사들이 무슨 업무를 하지 몰랐어요..ㅠㅠ(2025년에 시험의 1차,2차 과목 구성이 바뀐다는데 이 땅의 모든 수험생 여러분 화이팅입니다!!) 우선 이 글에서는 감사본부 회계사의 감사업무에 대해서 공유드리려고 합니다 ㅎㅎㅎ 말 그대로 감사본부에서 가장 중요한 업무는 '회계감사'입니다. 회계감사란 회계감사는 회계기록과 재무제표를 검토하여 그 정확성과 신뢰성을 확인하는 과정을 말합니다. 이는 회사의 재무 상태가 정확하게 반영되었는지, 관련 법규와 규정을 준수하는지를 평가하고, 재무정보의 신뢰성을 제공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By Chatgpt) 요새는 Chatgpt에 물어보면 모르는 게 없더라고요 ㅎㅎㅎ Chatgpt가 알려준 것처럼 회계감사란 회계기록(분개장, 계정별원장 등을 포함하는 개념)과 재무제표를 검토하여 회사가 발행하는 재무제표의 정보가 정확하고 신뢰가능한지 확인하는 과정입니다. 더 구체적인 내용은 회계감사 과목에서 공부할 수 있지만 간략하게 요약하자면 회사의 이해관계자들이 회사에 대해서 이해하고자 할 때 제일 먼저 찾아보는 것이 재무제표인데 이 재무제표가 정확하고 믿어도 되는지 인증해주는 작업이라고 할 수 있죠. 마치 한우 전문가가 어떤 소고기를 A++ 고기라고 인증해주면 소비자들은 그 인증마크를 믿고 의사결정을 하는 것과 비슷하다면 비슷하다고 할 수 있죠 ㅎㅎㅎ 다시 회계법인 이야기로 돌아가면 회계법인 감사본부는 크게 금융본부와 비금융본부로 나누어지는데 금융본부는 말그대로 은행, 증권사, 보험사 등 금융과 관련된 업무를 하며 주로 재고자산이 중요하지 않고 IFRS 9 금융상품 기준서와 IFRS 17 등이 중요한 회사들에 대하여 감사업무를 진행합니다. 비금융본부는 소매업, 건설업, 제조업 등 금융을 제외한 모든 분야를 아우르며 회사의 규모도 정말 작은 회사부터 삼성전자까지 스펙트럼이 매우 넓습니다. 본부는 크게 두 가지로 나누어지지만 감사본부 회계사의 삶은 크게 다르지 않습니다. 소위 '시즌'이라고 하는 기말감사 시즌에는 두 본부 모두 밤을 새는 일이 많거든요..ㅎㅎㅎ

##kicpa##공인회계사##한국공인회계사##전문직##PA##회계감사##회계사삶##분반기검토##기말감사##중간감사##비시즌##감사시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