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ng?type=w80_blur)
안녕하세요. 에리카입니다. 오늘은 ETF의 상장폐지에 대해서 한번 얘기해보려고 합니다.처음 주식을 시작하고나서 공격적으로 투자를 시도하던 때쯤 무서운 일이 닥치는 경우가 있습니다.관리종목지정, 상장폐지... 저도 상폐종목을 가지고 있어봐서 그 무서움을 잘 알고 있는데요.ETF에서도 그와 관련되어 상장폐지가 되는 경우가 있습니다. 그래서 오늘은 ETF가 상장폐지되는 조건과 상장폐지될 경우 투자한 돈은 어떻게 되는지 한번 같이 알아보기로 해요. 관리종목지정과 상장폐지에 대해서 관리종목 지정이란, 한국거래소가 상장회사의 부실이 심화되어 상장폐지 기준에 해당할 가능성이 있는 종목이 증권거래소에서 쫓겨날 우려가 있는 종목으로 지정하는 것을 말합니다. 이는 일반적인 주식이아닌 ETF도 해당하는데요.ETF도 상장된 지 1년이 지났지만 신탁원본액( 투자신탁을 최초로 설정할 때의 원본 가액을 말합니다.)과 순자산총액이 50억 미만일 경우 관리종목으로 지정이 됩니다.그리고 관리종목으로 지정된 후 다음 반기 말까지 지정사유가 지속되는 경우에는 상장폐지 순으로 가게 돼요.상장폐지란 증권거래소에서 증권이 매매대상 유가증권의 적격성을 상실하고 상장 자격이 취소되는 것을 말하는데요. 한마디로 거래소에서 "자격없으니 너 탈락!" 하는것과 같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