팹솔의 제조 팁 인사이트: 3D 프린팅 출력 방향과 내구성, 강도 차이

팹솔의 제조 팁 인사이트: 3D 프린팅 출력 방향과 내구성, 강도 차이

안녕하세요! 3D 프린팅을 할 때 슬라이서의 '자동 배치' 기능을 자주 사용하시나요? 편리하지만, 그 기능이 항상 최적의 부품 성능을 보장하는 것은 아닙니다. 특히 지속적인 하중이나 변형을 견뎌야 하는 부품이라면, 출력 방향(Print Orientation)은 부품의 수명을 결정하는 가장 중요한 요소가 됩니다.오늘은 CNC Kitchen의 심층적인 실험 결과를 바탕으로, FDM 3D 프린팅의 약점인 이방성(Anisotropy)을 이해하고, 최상의 강도, 품질, 정확도를 얻기 위한 출력 방향 선택 가이드를 제시합니다. 1. 근본적인 문제: FDM 3D 프린팅의 '이방성'과 강도필라멘트 압출 방식(FDM) 3D 프린팅의 가장 큰 숙제는 이방성(Anisotropy)입니다.이방성이란? 소재의 물성(강도, 탄성 등)이 방향에 따라 달라지는 특성입니다. 등방성과 이방성의 차이를 잘 나타낸 돌의 경우by Abouzar Vakili 약점의 원인: 새로 압출된 레이어는 아래 레이어에 부분적으로만 용융되어 접착됩니다. 이 레이어 경계면이 부품의 가장 취약한 지점이 되며, 레이어에 수직으로 힘을 가했을 때 가장 쉽게 파손됩니다. 각각 다른 방향으로 적층하여 제작된 도그본 인장 샘플 예시, 대체적으로 1번이 2번 보다 좋은 성능을 보인다.출처 : Instron 각도 별로 다르게 출력된 인장시험 샘플출처 : Youtube 'CNC kitchen' 💡 실험 결과: 수평으로 출력된 샘플이 평균 63 MPa의 강도를 보인 반면, 수직으로 출력된 샘플은 31 MPa로 강도가 절반으로 떨어졌습니다. Youtube CNC kitchen 2. 출력 방향 선택의 세 가지 목표출력 방향을 결정할 때는 강도(Strength), 지지대(Support), 표면 품질(Quality)이라는 세 가지 핵심 요소를 균형 있게 고려해야 합니다. 이 요소들은 종종 서로 상충합니다. 방향 선택 강점 (Strength) 약점 (Weakness) ...


원문링크 팹솔의 제조 팁 인사이트: 3D 프린팅 출력 방향과 내구성, 강도 차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