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서삼경, 오래된 말에서 배우는 오늘의 태도

🌿 사서삼경, 오래된 말에서 배우는 오늘의 태도

소월의 고전 기록: 나를 다듬는 공부, 첫 번째 이야기우연처럼 시작되었지만,너무 바빠서 정신없는 하루 속에서가끔은 나도, 내 말투도, 내 선택도 낯설게 느껴질 때그럴 땐 오래된 문장을 한 줄 꺼내어 천천히 읽어보려고 한다.바로 사서삼경(四書三經),조선 시대 선비들이 마음을 다듬고 세상을 바라보는 기준으로 삼았던 일곱 권의 책이다. 📚 사서삼경이란?사서(四書): 인간 내면의 수양과 관계, 삶의 태도를 다룬 네 권의 책삼경(三經): 자연과 인간, 변화의 이치를 담은 세 권의 고전총 일곱 권이지만,읽다 보면 일곱 가지 거울처럼내 삶의 방향을 비춰주는 책들이기도 하다. ✅ 사서(四書): 인간을 수양하고 삶을 정돈하는 네 권의 책 – 나를 다듬는 네 가지 태도📖 논어 (論語)핵심: 인간관계, 예(禮), 배움대표 문장: “學而時習之 不亦說乎”→ 배우고 때때로 익히는 삶은 기쁘다.해석: 말과 행동을 바르게 하고, 배우는 과정에서 기쁨을 느낀다.📖 맹자 (孟子)핵심: 성선설, 정의, 민본주의대표 문장: “人之初 性本善”→ 사람은 본래 착하다.해석: 인간은 선한 존재이며, 세상을 바르게 만들 수 있다.📖 대학 (大學)핵심: 수신 → 제가 → 치국 → 평천하대표 문장: “格物致知 誠意正心”→ 사물을 바로 알고, 진심을 바르게 하라.해석: 내면을 정비하면 가정과 사회도 함께 정돈된다.📖 중용 (中庸)핵심: 조화, 절제, 중심의 태도대표 문장: “過猶不及”→ 지나침은 모자람과 같다.해석: 균형 잡힌 태도가 지혜로운 삶의 기준이 된다. ✅ 삼경(三經): 자연과 사회, 우주의 원리를 담은 세 권의 책 – 세상을 읽는 세 가지 시선📖 시경 (詩經)핵심: 감정 표현, 미감, 예의대표 문장: “관관저여 재하지주”→ 꾀꼬리 지저귀는 강가의 아가씨여해석: 아름다움은 일상의 감정 속에도 존재한다.📖 서경 (書經)핵심: 역사, 통치, 리더십대표 문장: “德有有形”→ 덕이 있는 정치는 자취가 남는다.해석: 진정한 리더십은 말이 아니라 삶으로 나타난다.📖 역경 (易經)핵심: 변화의 원리, 음양오행대표 문장: “天行健 君子以自强不息”→ 하늘처럼 군자는 스스로 쉬지 않고 나아간다.해석: 세상은 흐르고, 나도 그 안에서 단단해져야 한다. ✨ 정리하며 논어는 배우는 삶의 태도,맹자는 선한 본성과 정의로운 사회,대학은 삶을 정돈하는 순서,중용은 균형 있는 태도,시경은 감정과 아름다움,서경은 덕 있는 리더십,역경은 변화 속에서 나를 지키는 힘. ✨ [소서삼경] 시리즈 예고고전이 말하는 ‘수양’과 ‘관계’, ‘균형’의 태도를지금의 언어로, 지금의 감성으로 정리해보려고 합니다.이름: 소서삼경(素書三經)의미‘소(素)’는 소월이자, 순수하고 본질적인 삶의 태도.‘삼경(三經)’은 내 삶을 단단하게 지탱해주는 세 가지 말의 축.기존 경전(논어·도덕경·소학 등)을 내 언어로 다시 읽고, 해석하고, 오늘의 삶을 위한 기록. '소박한 기록으로 내 삶을 다듬는 세 권의 책'소월의 기록으로 이어갑니다....


원문링크 🌿 사서삼경, 오래된 말에서 배우는 오늘의 태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