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자유, 평등, 박애’의 나라 프랑스.하지만 교육과 학력 문제에 있어서는 ‘평등’과는 거리가 먼 현실이 펼쳐지고 있습니다.오늘은 프랑스 사회 내에서 꾸준히 제기되는 학력차별 문제,특히 엘리트 중심의 교육 시스템이 낳는 불평등에 대해 이야기해보겠습니다. 🎓 프랑스의 학력 서열화 구조프랑스는 고등교육 기관이 크게 일반 대학(Université)과 그랑제콜(Grandes Écoles)로 나뉘어 있습니다.이 중 그랑제콜은 소수 엘리트만이 입학 가능한 특권적 교육기관으로, 졸업만 해도 고위공직, 대기업 간부로 직행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구분 일반 대학 (Université) 그랑제콜 (Grandes Écoles) 입학 기준 고등학교 졸업 자격 고교 졸업 후 2~3년 준비 과정 (CPGE) 거쳐 시험 통과 학비 저렴함 (국공립 무료 또는 저가) 상대적으로 높음 사회적 평가 일반적 학위 엘리트 인증, ‘국가 엔지니어’, ‘ENA 졸업생’ 등 졸업 후 진로 다양, 경쟁 치열 관료, 경영진, 외교 등 고위직 직행 👉 “ENA 출신이 아니면 고위공무원은 어렵다”는 말이 나올 정도로 학력 서열화가 뿌리 깊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