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폐 스팩트럼 장애(ASD)인 청소년인 경우 우울증인지 아닌지 여부를 먼저 아는 것이 중요하므로 앞서 포스팅한 위의 링크를 통해 먼저 간단하게나마 판단해보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ASD가 있는 십대 자녀가 우울증에 걸린 것 같다면 부모 및 보호자는 어떻게 해야 할까요? 자폐 스팩트럼 장애(ASD)를 앓고 있는 자녀의 우울증이 의심된다면 부모님은 자녀의 기분에 대해 직접 물어봐야 합니다. 일반적인 청소년이라면 대화를 피하는 등 대답하지 않거나 방 문을 걸어잠그는 등 자리를 피하겠지만, 자폐 스팩트럼 장애(ASD)가 있는 청소년은 자신의 감정을 말할 수 있습니다. 자폐 스팩트럼 장애(ASD)를 앓고 있는 십대들이 배고프거나 피곤하거나 지루함을 느낀다고 반응하는 것은 흔한 일입니다. 부모가 여전히 우울증에 대해 우려하는 경우, 소아과 의사나 정신 건강 임상의가 보다 심층적인 평가를 내릴 수 있습니다.

자폐 스팩트럼 장애(ASD) 청소년 우울증 치료법
네이버 블로그 · 2024년 10월 20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