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7년 만에 ‘합의’로 정해진 최저임금 2026년도 최저임금이시간당 1만 320원으로 결정됐어요.전년 대비 2.9% 인상된 수치인데,월급으로 환산하면 약 215만 원 수준이에요.그런데 이번 인상에서 가장 눈에 띄는 건,17년 만에 표결이 아닌‘합의’로 결정됐다는 점이에요.그동안 최저임금위원회는매년 치열한 대립 끝에 표결로 결정을 내리곤 했죠.그런데 이번엔 사용자, 근로자, 공익위원들이서로 한발씩 물러서며 조율된 결과를 만들어냈는데, 표면적으로는 꽤 이상적인 결정처럼 보이지만,속을 들여다보면 생각보다복잡한 이슈들이 얽혀 있답니다. 자영업자와 기업의 시선은 달라요 이번 결정에 대해 자영업자와소상공인들은 불안한 목소리를 내고 있어요.요즘처럼 물가가 높고 고정비 부담이큰 시기에 인건비까지 오르면,매출이 조금만 줄어도운영이 어려워지는 것을우려하는 목소리가 큽니다.특히 직원 수가 적은 매장은 인상분이곧바로 이익 하락으로 연결되기 때문에"이젠 직원을 줄여야 하나"라는 고민이 많다고 해요. 반면, 대기업이나 중견 기업은상대적으로 여유 있는 편이에요.기본적으로 이미 최저임금 이상을지급해오던 경우가 많기 때문에직접적인 타격은 덜한 편이죠.다만, 장기적으로 보면일부 기업들도 자동화 도입이나아르바이트 근무시간 축소 등으로대응하려는 흐름이 생길 수도 있다고 해요. 3. 노동자 입장에서도 엇갈리는 반응이에요 노동자들의 반응은 크게 두 가지로 나뉘었어요.일부는 "그래도 사회적 합의를통해 인상된 건 의미 있다"며긍정적으로 받아들이는 반면,특히 민주노총 등 일부 노동단체는"물가 상승률도 못 따라간다"며강하게 비판하고 있어요.실제로 비정규직이나 플랫폼 노동자처럼최저임금에 민감하게 영향을 받는 분들에겐이번 인상률이 체감되지 않는다는 의견이 많았어요."물가 오른 거 생각하면 300원 인상은실질적인 도움이 되지 않는다"는 반응도 적지 않았고요.반면, 일부 청년층은 “그래도 올랐다는 게 어딘가요"라며 그나마 긍정적인 시선도 있었어요.아무래도 고용 안정성이더 중요한 세대라서 그런 것 같아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