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25년 임업직불금신청 시작! 대상 자격조건, 신청기간, 온라인·오프라인 방법부터 지급단가까지 한눈에 정리했습니다. 최근 경남 지역에서 발생한 대형 산불로 인해 많은 분들께서 어려움을 겪고 계십니다. 산불로 인해 산림과 농지, 주택, 상가 등이 소실되며 생계에 큰 타격을 입은 분들도 많으실 텐데요. 특히 산림 자원을 관리하고 보전하던 임업인들의 피해가 막심한 상황입니다.이런 재난 속에서도 정부는 산림을 가꾸고 임산물을 생산하는 임업인들을 위해 ‘임업직불금제도’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해당 제도는 일정 조건을 충족하는 임업인에게 직불금을 지원하여 자연재해 및 소득변동에 따른 부담을 완화해주는 정책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임업직불금신청에 대한 신청 기간부터 자격 조건, 신청 방법, 지급 금액까지 알아보겠습니다. 임업직불금제도란?임업직불금제도는 ‘임업공익직접지불제’로 불리며, 임산물 생산업과 육림업에 종사하는 임업인들에게 안정적인 소득을 보장해주는 제도입니다.주요 목적- 자연재해로 인한 임업인 피해 최소화- 임업인의 지속적인 산림 경영 유도- 임업 종사자 소득 안정 및 공익적 산림관리 확대임업직불금 지급 대상 산지- 임산물 생산업/ 2019년 4월 1일 ~ 2022년 9월 30일 사이/ 임업경영체 등록 산지- 육림업/ 산림경영계획 인가를 받고, 같은 기간 임업경영체에 등록된 산지 단순 산림 소유자라 해서 모두 받을 수 있는 것은 아닙니다. 임업경영체에 등록되어 실제 임업 활동을 하고 있는 산지여야 합니다.임업직불금 대상 자격 조건① 임산물 생산업- 직전 1년 이상 임산물 생산에 종사한 자- 연간 임산물 판매금액 120만 원 이상- 농촌 지역에 주소 또는 사무소가 있는 자- 소규모 임가 또는 면적 요건 충족② 육림업- 대상 산지의 소유자(입목등기 포함)- 최근 10년간 3ha 이상 육림실적- 최근 1년간 60일 이상 육림업 종사- 농촌에 주소 또는 주된 사무소가 있는 자 임업직불금 지급 면적 기준 ※ 일정 면적 이상 보유 시에도 상한선이 적용됩니다.✅ 임업직불금 지급 단가 (2025년 기준)▶ 임산물 생산업- 소규모임가 (0.1~0.5ha): 130만 원- 일반품목- 2ha 이하: 94만 원/ha- 6ha 이하: 84만 원/ha- 30ha 이하: 70만 원/ha송이버섯 재배지- 2ha 이하: 62만 원/ha- 6ha 이하: 47만 원/ha- 30ha 이하: 32만 원/ha▶ 육림업- 10ha 이하: 62만 원/ha- 20ha 이하: 47만 원/ha- 30ha 이하: 32만 원/ha지급 단가는 면적과 품목에 따라 차등 적용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