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퇴직을 앞두고 계시거나 퇴직금을 미리 계산해보고 싶은 분이라면 꼭 알고 계셔야 할 정보가 있습니다.바로 퇴직금 계산기 사용법과 실제 내 통장에 들어오는 실수령액 계산 방법이에요. 퇴직연금 DC형과 아르바이트 퇴직금도 각각 계산 방식이 다르기 때문에, 이번 포스팅에서 2025년 최신 기준에 맞춰 한 번에 정리해드릴게요.✅ 목차퇴직금이란?퇴직금 계산 공식 (2025년 기준)퇴직금 계산기 사용법실수령액 확인 방법 (퇴직소득세 반영)아르바이트 퇴직금 조건과 계산법DC형 퇴직연금은 퇴직금과 다르다?퇴직금 계산 시 주의사항 3가지퇴직금 계산기 추천 사이트자주 묻는 질문(FAQ) ✅1. 퇴직금이란?퇴직금은 1년 이상 계속 근무한 근로자에게 지급되는 법적 급여입니다.사업장 규모나 고용 형태(정규직, 계약직, 아르바이트)와 관계없이 근속기간과 근로시간 요건만 충족하면 누구나 받을 수 있는 권리입니다.✅ 2. 퇴직금 계산 공식 (2025년 기준)퇴직금은 다음 공식으로 계산됩니다:퇴직금 = 1일 평균임금 × 30일 × (재직일수 ÷ 365)📌 여기서 평균임금이란?퇴직일 이전 3개월 동안 받은 임금 총액을 총 일수로 나눈 금액입니다.포함: 기본급, 정기 상여금, 고정수당제외: 실비성 경비(식대, 교통비, 출장비 등)📌 주의: 평균임금이 통상임금보다 현저히 낮아 근로자에게 불리한 경우, 판례에 따라 통상임금을 기준으로 삼을 수도 있습니다. ✅ 3. 퇴직금 계산기 사용법간편하게 퇴직금을 계산하고 싶다면?고용노동부와 민간에서 제공하는 퇴직금 계산기를 활용하면 편리하게 확인할 수 있어요.📌 입력 항목입사일 / 퇴사일최근 3개월 총 급여연간 상여금 총액(정기 지급분)미사용 연차 수당📌 추천 사이트고용노동부 퇴직금 계산기 (공식 기준 적용)예스폼 퇴직금 계산기시프티(shiftee) 계산기Tip: 사이트마다 항목 구성이나 계산 방식이 다를 수 있어 2곳 이상 비교해보는 걸 추천드립니다. ✅ 4. 실수령액 확인 방법 (퇴직소득세 반영)퇴직금 계산기에서 확인한 금액은 세전 금액입니다.실제 내 통장에 들어오는 돈은 퇴직소득세 및 지방소득세를 제외한 금액이므로, 추가 계산이 필요합니다.📌 실수령액 계산 절차퇴직소득금액 산정근속연수에 따라 공제액 적용과세표준 계산누진세율로 퇴직소득세 산출지방소득세(퇴직소득세의 10%) 추가실수령액 = 퇴직금 – 총 세액👉 정확한 계산은 여기서!국세청 퇴직소득세 계산기 ✅ 5. 아르바이트 퇴직금 조건과 계산법아르바이트생도 법적 요건을 충족하면 퇴직금을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급 요건1년 이상 계속 근무 (365일 이상)주 평균 15시간 이상 실제 근로주말만 일해도 하루 8시간씩 이틀(16시간)이라면 요건 충족!단, 일용직처럼 계약이 단속적이거나 근무 공백이 있으면 제외될 수 있으니 주의하세요.📌 계산법(3개월 총 임금 ÷ 3개월) × 근속연수※ 시급제일 경우: 시급 × 월평균 근로시간※ 월급제일 경우: 세 달 급여 총합 ÷ 3👉 고용노동부 퇴직금 계산기 사용을 추천드려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