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통상임금, 주휴수당, 퇴직금 계산법을 2025년 최신 법령과 사례로 쉽게 정리했습니다. 실무자도 바로 활용 가능한 완벽한 급여 가이드! ✅ 목차통상임금이란? – 2024년 대법원 판례까지통상임금 계산법 – 시급·일급 계산 예시주휴수당 계산법 – 조건과 지급 방식퇴직금 계산법 – 평균임금 기준과 예외통상임금 vs 평균임금 – 정확한 구분실무 적용 예시 – 중도입사자 급여 계산마무리 요약 – 실무자라면 꼭 알아야 할 포인트 ✅1. 통상임금이란? – 2024년 대법원 판례까지통상임금이란 근로자가 일한 대가로 정기적·일률적으로 지급받는 고정급입니다.기본급 외에도 식대, 직책수당, 정기상여금 등 일정 요건을 충족하면 포함됩니다.📌 2024년 대법원 판례 요약기존에는 ‘정기성 + 일률성 + 고정성’ 필요2024년 2월 대법원 전원합의체 판결: 고정성 제외정기적이고 일률적인 지급이면 통상임금으로 인정재직조건 있는 정기상여금도 포함 가능 ✔ 즉, 지급 조건이 붙은 급여라도 지속적으로 반복 지급된다면 통상임금으로 포함될 수 있습니다. ✅ 2. 통상임금 계산법 – 시급·일급 계산 예시통상임금은 시급과 일급 계산의 기준이 되며, 주휴수당, 연장근로수당, 야간수당 등 대부분의 수당 산정에 활용됩니다.▶ 계산 방식통상시급 = 통상임금 ÷ 209시간통상일급 = 통상시급 × 1일 근로시간(보통 8시간)▶ 예시기본급: 250만원식대: 20만원직책수당: 30만원정기상여금: 118만원✔ 총 통상임금 = 2,500,000 + 200,000 + 300,000 + 1,180,000 = 4,180,000원✔ 통상시급 = 4,180,000 ÷ 209 = 20,000원✔ 통상일급 = 20,000 × 8 = 160,000원 ✅ 3. 주휴수당 계산법 – 조건과 지급 방식주휴수당은 유급 주휴일에 대한 보상입니다. 근로기준법 제55조에 따라 주 15시간 이상 근무하고 개근한 근로자에게 지급됩니다.▶ 계산 공식주휴수당 = 통상시급 × 8시간주급여 외에 추가로 하루치 급여가 지급됩니다.▶ 2025년 최저임금 기준시급: 10,030원통상일급: 10,030 × 8 = 80,240원주휴수당 = 80,240원▶ 중도입사자 예시입사일: 5월 15일수~금(3일 근무), 주 24시간 근로개근 충족 → 주휴수당 발생총 주휴수당: 80,240원 × 2주 = 160,480원 ✅ 4. 퇴직금 계산법 – 평균임금 기준과 예외퇴직금은 1년 이상 근속한 근로자에게 지급되는 법정 퇴직급여입니다.▶ 퇴직금 공식퇴직금 = 평균임금 × 30일 × (근속일수 ÷ 365)▶ 평균임금 계산기준: 퇴직 전 3개월 총임금 ÷ 달력 일수예시:- 총임금: 7,800,000원- 일수: 90일- 평균임금 = 7,800,000 ÷ 90 = 86,667원✔ 퇴직금 = 86,667 × 30 = 2,600,010원📌 중요 포인트퇴직금은 ‘평균임금’을 기준으로 합니다. 다만, 이 금액이 법정 최저수준보다 낮은 경우, 근로자에게 유리한 ‘통상임금’을 적용합니다.즉, ‘통상임금으로 대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