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권고사직·자진퇴사도 실업급여 가능? 고용24·워크넷 활용법부터 실업급여 수급 조건, 신청서류까지 2025년 기준 최신 정보로 정리했습니다! 목차실업급여란? 권고사직과 자진퇴사 차이실업급여 수급 조건과 2025년 기준 지급 금액자진퇴사도 가능한 정당한 이직 사유 6가지실업급여 신청 절차: 고용24·워크넷 사용법제출서류·주의사항·FAQ까지 총정리자진퇴사하면 실업급여 못 받나요? 많은 분들이 퇴사를 고민하면서 가장 먼저 걱정하는 부분입니다. 하지만 고용노동부는 권고사직은 물론, 자진퇴사도 ‘정당한 사유’가 있다면 실업급여 수급이 가능하다고 명시하고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2025년 최신 기준으로 권고사직·자진퇴사 실업급여 조건과 신청 절차, 주의사항까지 정리해드릴게요. 퇴사를 앞두고 있다면 반드시 체크해보세요. 1. 실업급여 수급 조건과 2025년 지급 기준✅ 실업급여 수급 요건 3가지 요건 내용 고용보험 가입기간 퇴사일 기준 최근 18개월 내 180일 이상 근무 퇴사 사유 비자발적 퇴사 or 자진퇴사 중 정당한 사유 인정 재취업 의지 구직등록 후 구직활동 필수, 실업인정 받아야 함 ✅ 권고사직이란?회사가 구조조정, 경영악화 등 이유로 퇴사를 권유근로자가 수용해 사직서 제출이 경우 이직확인서에 코드 23(권고사직) 명시되어야 실업급여 수급 가능✔ TIP: 회사에서 자발적 퇴사로 기재하면 정정 요청해야 실업급여 인정됩니다!✅ 2025년 실업급여 금액 기준1일 지급 상한액: 66,000원하한액: 최저임금의 80% 수준소정급여일수: 고용보험 가입기간·연령에 따라 120일~270일1차 실업인정 시: 대기기간 7일 제외, 약 8일분 지급이후: 28일 주기로 매월 지급 3. 자진퇴사도 실업급여 받을 수 있다? 정당한 사유 6가지고용노동부 고시 [고용보험법 시행규칙 별표2]에 따라 자진퇴사도 실업급여가 가능한 경우는 아래와 같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