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대표님LooKC입니다!중국에서 제품을 수입해 판매하고자할 때, 가장 많이 받는 질문 중 하나는"KC인증을 꼭 받아야 하나요?"입니다. 최근 알리익스프레스에서도미리 예고했던 대규모 KC인증 단속을4월부터 시행한다고 하는데요.이번 글에서는 실제 사례를 바탕으로순서대로 한 번에 정리 드리겠습니다.1. 중국산 제품의 KC인증 필요 여부,2. 인증받지 않았을 때의 리스크,3. KC인증 절차 ✅KC인증, 왜 필요한가요?KC인증(Korea Certification)은 국내에서 판매되는 전자제품, 생활용품, 어린이용품 등이 국가 기준에 적합한 안전성과 전자파 차단 능력을 갖췄는지 확인하기 위한 제도입니다. 즉, 소비자 보호를 위한 최소한의 기준이며, 수입제품도 예외는 아닙니다. ❗꼭 받아야 하는 경우는?전기 또는 배터리로 작동하는 제품무선 기능(블루투스, 와이파이 등)이 있는 제품아동용 또는 생활용 전자기기인체에 접촉하거나 위험성이 있는 제품예시: 미니 선풍기, LED 스탠드, 블루투스 이어폰, 전기포트 등 🧾사례: 인증 없이 수입했다가 통관에서 제지된 사례 사례 요약A사는 중국에서 저렴한 가격에 블루투스 스피커를 수입해 온라인 판매를 계획했습니다.제품 외관에는 CE 인증은 있었지만, KC인증은 없었고, 제품 라벨에도 표시되지 않았습니다.통관 단계에서 관세사로부터 “전자파적합성 인증서 미제출”을 이유로 수입보류 판정을 받았고,이후 인증을 새로 받느라 약 3주간 지연 + 인증 비용 100만 원 이상이 추가로 발생했습니다.결과: 예정보다 1달 늦은 판매 시작, 마케팅 지연, 재고 비용 증가. 👉 이처럼 KC인증이 없으면 통관 자체가 불가능하거나 벌금, 리콜 대상이 될 수 있습니다. 🔄일반적인 KC인증 절차 요약1. 제품 사양 확인→ 어떤 인증(전자파, 전기안전 등)이 필요한지 확인2. 시험소 의뢰→ 지정 시험기관에 샘플 제품 제출3. 시험/검사→ 제품 특성에 따라 전자파, 안전성 평가 등 진행4. KC인증서 발급→ 시험 통과 후, 인증 마크 부착 가능5. 통관 시 제출→ 인증서 및 관련 서류를 통관 시 제출💡 TIP: KC인증을 미리 준비하세요!KC인증은 단순한 형식 요건이 아니라, 판매와 직결된 필수 과정입니다.특히 전자기기나 전원 사용하는 제품이라면, 통관 전에 미리 인증 절차를 시작하시는

중국산 제품 KC인증, 꼭 받아야 할까? (사례 포함)
네이버 블로그 · 2025년 4월 9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