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안녕하세요. 데이터복구 및 보안 전문 엔지니어링 센터입니다. 오늘은 최근 문의가 늘고 있는 핸드폰 WIFI(와이파이) 제거 및 블루투스 차단 작업에 대해 전문적으로 설명드리겠습니다.많은 기업·연구소·군 보안 환경에서는 정보 유출 방지를 위해 스마트폰 무선 통신 기능을 완전히 차단해야 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단순히 설정 메뉴에서 와이파이와 블루투스를 꺼두는 것만으로는 충분하지 않으며, 하드웨어 차원의 물리적 제거가 필요합니다. 왜 WIFI(와이파이) 및 블루투스 제거가 필요한가? 1.정보 유출 방지와이파이나 블루투스는 의도치 않은 연결을 통해 민감한 데이터가 외부로 유출될 위험이 있습니다.2.보안 규정 준수군사, 연구, 관공서, 보안 구역에서는 외부 통신 차단이 필수 요건입니다.3.소프트웨어 차단의 한계단순히 OS에서 와이파이/블루투스를 꺼두어도, 루팅 또는 악성 코드에 의해 다시 활성화될 수 있습니다.4.하드웨어 차단의 필요성보안성이 요구되는 환경에서는 칩셋 레벨에서 와이파이/블루투스 모듈을 제거하거나 회로를 단절해야 합니다. 핸드폰 WIFI 제거 및 블루투스 비활성화 방법 핸드폰은 내부적으로 AP(Application Processor) + 무선통신 칩셋(Wi-Fi/BT 모듈) 구조를 갖고 있습니다. LG, 삼성, 애플 등 대부분의 스마트폰은 통합 칩셋(Qualcomm, Broadcom 등)을 사용하고 있는데, 이 모듈에서 와이파이와 블루투스 기능이 함께 제공됩니다.1. 소프트웨어 차단 (비권장)설정 메뉴에서 단순히 꺼두는 방식.루팅, 악성 앱 등에 의해 무력화될 수 있음.보안 환경에서는 절대 권장되지 않음.2. 하드웨어 차단WIFI/BT 안테나 회로 단절메인보드 상에서 와이파이/블루투스 안테나 라인을 분리하여 무선신호 자체가 송수신되지 않도록 처리.3.WIFI/BT 모듈 제거(추천: 하드웨어적 제거로 송수신불가)통합 칩셋(예: Qualcomm WCN3990, Broadcom BCM4359 등)에서 와이파이 및 블루투스 모듈 부분을 제거.고난도의 리워크(Rework) 장비 및 BGA 작업이 필요.4.회로 개조 후 신호 무력화무선 통신이 불가능하도록 전원 공급 라인(VCC)을 차단하거나, 특정 회로를 절연 처리. 실제 작업 사례 최근 보안업체 의뢰로 진행한 핸드폰 WIFI(와이파이) & 블루투스 제거 작업을 소개합니다.고객 요청“사내 보안 규정상 모든 스마트폰은 와이파이 및 블루투스를 물리적으로 제거해야 함. 소프트웨어 차단은 불가.”작업 과정손님께서 작업을 위해 가져오신 아이폰8의 외관사진입니다. 사용중 발생한 전면 액정 하단부 파손이 있는만큼 작업을 신중히 진행해야만 파손부분에 의한 액정손상을 막을 수 있습니다. 작업을 위해 핸드폰의 액정을 제거한 후 내부 사진입니다. 습기가 많이 유입된 흔적이 남아있습니다. 전자기기는 물이나 습기에 취약하므로 메인보드의 잠재적 손상이 존재할 가능성도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