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스트메이트

농어촌민박사업자 신고와 법제처의  법령 해석

농어촌민박사업자 신고와 법제처의 법령 해석

네이버 블로그 · 2024년 7월 4일

한 민원인이 농어촌민박사업의 규모 기준인 "주택 연면적"은 해당 건물 전체의 연면적을 의미하는지 아니면 그 임차인이 해당 주택 중 세대를 달리하여 주거ㆍ사용하고 있는 공간의 연면적만을 의미하는지 농림축산식품부의 회신에 이의가 있어서 법제처에 법령해석을 요청했습니다. 법제처의 회답은 이렇습니다. "이 사안의 경우 해당 건물 전체의 연면적을 의미합니다. <이유>주택의 연면적 중 "주택"은 단독주택 또는 다가구주택을 의미하고 "연면적"이란 하나의 건축물 각 층의 바닥 면적을 합한 전체 면적으로서 건축물의 전체 규모를 파악하기 위한 개념이므로 "주택 연면적"이란 단독주택 또는 다가구 주택 전체 각 층의 바닥면적 합계를 의미하는 것으로 보아야 합니다. 또한 농어촌민박사업을 경영하려는 자는 신고서에 대지 면적과 주택의 연면적만을 기재하도록 하고 임차인이 주거ㆍ사용하고 있는 공간을 별도로 기재하도록 규정하고 있지 않은 점을 고려할 때 연면적을 산정하는 데 있어 하나의 주택 공간을 세대를 달리하여 사용하고 있는 공간 단위로 구분하려는 취지는 아니라고 보는 것이 타당합니다. 아울러 "주택 연면적 230제곱미터 미만"으로 제한한 취지는 농어촌지역에 상업화ㆍ대형화된 펜션 등 일부 숙박시설이 농어촌민박을 표방하여 무분별하게 난립하는 현상과 공중위생관리법령상 숙박업에 포함되지 않아 일반적인 숙박시설에 관한 규제가 적용되지 않는 농어촌민박사업을 규제 회피 수단으로 운영하는 것을 방지하려는 것이라는 점과, 만약 같은 호의 주택 연면적을 임차인이 해당 주택 중 세대를 달리하여 주거ㆍ사용하고 있는 공간의 연면적만을 의미한다고 본다면 연면적 230제곱미터를 초과하는 큰 규모의 다가구주택 중 일부만을 농어촌민박사업으로 사용한다고 신고 후 실제로 같은 주택 내에 있는 다른 공간까지 농어촌민박사업의 시설로 사용하는 등의 불법적인 영업이 발생할 우려가 높아 농어촌민박사업의 규모를 제한한 입법취지에 반하는 결과를 초래할 수 있는 점도 이 사안을 해석할 때 고려해야 합니다. 농어촌민박 사업자 신고 그러면, 농어촌민박사업자 신고와 관련된 내용을 살펴보겠습니다. 1. 농어촌민박의 정의와 신고 의무

##농어촌민박사업자신고##농어촌민박##농촌형펜션##농어촌민박창업##민박사업자##펜션창업##불법민박##관광펜션##농어촌민박제출서류##농어촌민박구비서류##농어촌민박신고대행##서울인천경기수도권행정사#

같은 블로그의 다른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