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대 의대 교수 전공의 의대생 비판 오만하기 그지없다 전공의, 의대생 여러분 의정갈등 의료분업이 있을 때 당신들만 싸운 것이 아닙니다. 국민들이 총선 등 선거때 표로 심판하였고, 현장에서 목소리로 함께 싸웠음을 잊지 말아야 합니다. 지금 당신들의 모습은 오만하고 방자한 태도로 익힐 수 있습니다. 관련하여 서울대의대 교수들이 일부 전공의와 의대생을 향해 선배로서 그리고 선생으로의 가르침을 줬습니다. 교육부에서 의대정원 3058명으로 회귀한다는 발표를 하였고, 학생들에게 현장으로 복귀해 달라는 요청까지 하였습니다. 말 그대로 백기투항을 한 것인데요. 일부 의대생들은 복귀 의사를 밝혔으나 이를 두고 동료 의대생과 전공의들이 비난의 목소리를 내는 이들이 나타났고, 서울대 의대 교수들은 이들에게 일침을 가한 것입니다. 이들은 더 이상 침묵하는 다수자 속에 숨어 더 이상 동조자가 되지 않겠다고 말하며, 집단행동을 강요하는 후배들을 "오만하다"고 비판했습니다. 오늘 17일 서울대 의대와 서울대병원에 따르면 하은진(신경외과), 오주환(국제보건정책), 한세원(혈액종양내과), 강희경(소아종양내과) 교수는 "복귀한 동료가 더 이상 동료가 아니라고 주장하는 사람들에게는 이제 결단해야 할 때입니다"라는 제목의 성명서를 냈습니다. 이들은 “이런 상황이 계속되니 제자들과 후배들에게 실망스럽고 낙담스럽다”며 “조금 겸손해지는 건 좋겠지만, 의사면허 한 개로 전문가 대우받는 건 오만하기가 그지없다”고 덧붙였습니다. 이어 "의료진, 의학기사 댓글, 대한의사협회 부회장 박단의 페이스북 게시물에는 환자에 대한 책임, 동료에 대한 존중, 직업적 존엄성이라고 할 수 없는 말들이 넘쳐난다"며, "그것들을 읽으면 '내가 아플 때, 내 가족이 그들에게 치료를 받을까 봐 두렵다'는 생각이 든다"고 덧붙였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