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남 진주 어린이집 야외수업 9살 장애아동 호수에 빠져 숨져 경남 어린이집 야외수업 중 장애 아동 익사 사고 개요 지난 15일, 경상남도 진주 남강댐 인근 산책로에서 한 장애 아동 전문 어린이집이 야외수업을 진행하던 중 9세 지적장애 아동 A군이 호수에 빠져 사망하는 안타까운 사고가 발생하였습니다. 해당 어린이집에는 당시 교사 7명과 장애 아동 12명이 함께 야외활동에 참여하고 있었으며, 사고는 야외수업 도중 갑작스럽게 발생하였습니다. 사고 발생 경위 A군은 특수학교에 재학 중이며, 평소 학교 수업을 마친 후 해당 어린이집에서 오후 시간을 보내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사고 당일, 어린이집 측은 남강댐 인근의 수변 산책로에서 야외수업을 진행하였고, 교사 7명이 12명의 장애 아동을 인솔하고 있었습니다. 야외수업 도중 A군이 갑자기 혼자 뛰쳐나가는 모습을 교사 한 명이 목격하였으나, 곧 시야에서 놓치게 되었습니다.A군이 사라진 것을 인지한 교사들은 즉시 원장과 경찰에 연락하였고, 경찰과 소방, 경남 수자원공사 직원들이 현장에 출동하여 약 1시간 동안 수색작업을 벌였습니다. 결국 진양호 물가에서 A군을 발견하였으나, 병원으로 이송된 후에도 끝내 숨졌습니다. 사고 이후 조사 및 쟁점 경찰은 현재 타살 혐의점은 없는 것으로 보고 있으며, 어린이집 교사들이 장애 아동 인솔 의무를 제대로 이행하였는지 등 아동 관리의 적정성 및 사고 경위에 대해 면밀히 조사 중입니다. 특히, 장애 아동의 특성을 고려한 안전관리 체계가 충분히 마련되어 있었는지, 교사 대 아동 비율이 적정하였는지, 위험지역에서의 야외수업 인솔 및 관리 매뉴얼이 제대로 지켜졌는지가 주요 조사 대상입니다. 장애 아동 야외활동 안전관리 문제 이번 사고는 장애 아동의 야외활동 시 안전관리의 중요성을 다시 한 번 환기시켰습니다. 장애 아동의 경우 돌발 행동이나 예측하기 어려운 상황이 빈번하게 발생할 수 있으므로, 일반 아동보다 더욱 세심한 관찰과 관리가 필요합니다. 특히, 수변 등 위험지역에서는 인솔 교사의 배치, 안전장비 착용, 위험구역 접근 통제 등 다각적인 안전대책이 요구됩니다.교사 1명이 여러 아동을 동시에 관리하는 상황에서는 한 순간의 방심이 큰 사고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이에 따라, 야외수업 전 사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