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강선우 낙마 자진사퇴 지명철회 이재명의 결단은? 강선우 여성가족부 장관 후보자는 최근 임금체불, 보좌진 갑질 의혹, 직장 내 괴롭힘, 취업 방해 논란 등 중대한 문제들이 잇따라 제기되면서 각종 시민사회단체와 정계, 그리고 청와대 참모진까지 거취 문제를 심각하게 논의하는 상황에 이르렀습니다. 특히 참여연대를 비롯한 시민단체, 여성단체 및 민주당 내 보좌진 전·현직 관계자들까지 줄줄이 사퇴를 촉구하면서, 강 후보자의 자진 사퇴 또는 대통령의 지명철회 가능성에 대한 관측이 커지고 있습니다. 핵심 논란: 임금체불과 '보좌진 갑질' 의혹 강선우 후보자의 보좌진 '갑질' 논란은 21대 국회의원 재임 시절 의원실에서 두 차례에 걸쳐 고용노동부에 진정이 접수될 정도로 구체적이고 반복적으로 제기된 바 있습니다. 진정 내용은 임금체불, 근로조건 악화, 조직 내 따돌림, 사직 유도, 심지어 퇴직자에 대한 취업 방해 시도까지 포괄하고 있습니다. 임금체불의 경우, 2020년 11월과 2022년 1월 두 차례에 걸쳐 강 후보자 사무실이 고용노동부에 근로기준법 위반으로 진정 접수되었으나, 각각 의사 없음과 행정 종결 처리된 바 있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반복된 진정과 추가 제보가 언론을 통해 공개되면서 사회적 파장이 확산되었습니다.특히, 보좌진 조직 내 따돌림 및 취업 방해 주장이 전·현직 직원들의 구체적 진술과 함께 공개되면서, 강 후보자의 리더십과 공적 자질, 조직관리 방식에 근본적인 문제가 있다는 비판이 더욱 거세지고 있습니다. 국회의원이라는 우월적 지위를 이용해 사적 권한을 남용하는 행위가 반복되었다는 점이 국민 정서 및 정부 신뢰와 직결되고 있다는 비판도 만만치 않습니다. 시민사회·여성단체 및 민주당 내부의 사퇴 촉구 참여연대는 7월 16일 공식 논평에서 강 후보자에 대해 “중대한 결격사유가 확인되어 국민 눈높이에 현격히 미달한다”며, 스스로 사퇴하는 것이 마땅하다고 촉구하였습니다. 특히 참여연대는 강 후보자의 갑질 논란에 대해 “변명과 거짓 해명으로 정부 신뢰마저 무너뜨리고 있다”고 강도 높게 질타했습니다. 한국여성정치네트워크 등 주요 여성단체도 “공사 구분조차 못하는 강 후보자는 어떤 공직도 맡을 수 없다”며 공직자로서 도덕성 결여와 리더십 부족을 지적하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