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강경 사구게 (金剛經 四句偈)

금강경 사구게 (金剛經 四句偈)

● 제 1구게 (제 5 여리실견분 如理實見分)온갖 상은 모두가 허망하니 상 아닌 줄 알면 바로 여래를 보리라.범소유상 凡所有相 개시허망 皆是虛妄 약견제상비상 若見諸相非相 즉견여래 卽見如來 ● 제 2구게 (제 10 장엄정토분 莊嚴淨土分)응당 색(色)에 머물러서 마음을 내지도 말고, 응당 성ㆍ향ㆍ미ㆍ촉ㆍ법에 머물러서 마음을 내지 말 것이요, 응당 머문바 없이 마음을 내어야 하느니라.불응주색생심 不應住色生心 불응주성향미촉법생심 不應住聲香味觸法生心응무소주 應無所住 이생기심 而生其心 ● 제 3구게 (제 26 법신비상분 法身非相分)만약 색신으로써 나를 보거나 음성으로써 나를 구하면, 이 사람은 사도를 행함이라. 능히 여래를 보지 못하리라.약이색견아 若以色見我 이음성구아 以音聲求我시인행사도 是人行邪道 불능견여래 不能見如來 ● 제 4구게 (제 32 응화비진분 應化非眞分)일체의 함이 있는 법-현상계의 모든 생멸법(生滅法)은 꿈과 같고, 환상과 같고, 물거품과 같으며 그림자 같고 이슬과 같고, 또한 번개와도 같으니, 응당 이와같이 관할지니라.일체유위법 一切有爲法 여몽환포영 如夢幻泡影 여로역여전 如露亦如電 응작여시관 應作如是觀 ● 금강반야바라밀경 해석금강반야바라밀경은 수보리를 위하여 설한 경전으로, 한 곳에 집착하여 마음을 내지 말고 항상 머무르지 않는 마음을 일으키고, 모양으로 부처를 보지말고 진리로서 존경하며, 모든 모습은 모양이 없으며 이렇게 본다면 곧바로 진리인 여래를 보게 된다고 설(說)하고 있다....


원문링크 금강경 사구게 (金剛經 四句偈)

 등록된 모든 글

자경문, 自警文, 불교입문 초발심(初發心)
고왕경 한자, 高王經
관세음보살수기경, 觀世音菩薩授記經
금광명경 4권, 金光明經 券四
금광명경 3권, 金光明經 三券
금광명경 1권, (金光明經)
금광명경 2권, 金光明經 二券
금광명경 목차, 金光明經 目次
불설업보차별경, 佛說業報差別經
약사여래본원경 한글, 藥師如來本願經
금강경 진언(金剛經 眞言)
반야심경(般若心經)
천수경(千手經 )
백팔대참회문 (百八大懺悔文)
삼십칠존예참문(三十七尊禮懺文)
법화경 약찬게 (法華經 略纂偈)
예불문 칠정례 (禮佛文 七頂禮)
금강경 사구게 (金剛經 四句偈)
능엄신주 한글 (大佛頂楞嚴神呪)
능엄신주(楞嚴神呪)
금강경 목차(金剛經)
아미타경 한문 (佛說阿彌陀經)
아미타경 한글(​佛說阿彌陀經)
무량수경우바제사원생게
지장보살본원경 한글, 地藏菩薩本願經
불정심 관세음보살 모다라니
불설수구즉득대자재다라니 (佛說隨求卽得陀羅尼)
약사여래본원경 한문(漢字)
지장경사구게 (地藏經 四句偈)
지장보살구족수화길상광명대 (地藏菩薩具足水火吉祥光明大)
지장보살 약찬게 한문 (地藏菩薩 略讚偈)
관세음보살보문품 한자(漢字)
화엄경약찬게 (華嚴經 略纂偈)
불설변조반야바라밀경, 佛說徧照般若波羅蜜經
불설수생경(佛說壽生經)
원각경 (圓覺經), 본각(本覺)
금강경 한자, 金剛般若波羅蜜經
금강경찬, 金剛經纂, 금강경 회향문
금강경 한글, 金剛經