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방광원각수다라요의경大方廣圓覺修多羅了義經이와 같이 나는 들었다.어느 때 바가바(婆伽婆)께서 신통대광명장(神通大光明藏)에 드시어 삼매(三昧)를 바르게 누리시니, 일체 여래께서 빛나고 장엄하게 머무시는 자리이고, 중생들의 청정한 깨달음의 자리였으며, 몸과 마음이 적멸하여 평등한 근본 자리였다. 시방에 원만하여 둘이 아닌 것[不二]을 수순하고 둘이 아닌 경지에서 모든 깨끗한 국토를 나타내시니, 대보살마하살(大菩薩摩訶薩) 10만인과 함께 계셨다.그이름은 문수사리보살(文殊師利菩薩)ㆍ보현(普賢)보살ㆍ보안(普眼)보살ㆍ금강장(金剛藏)보살ㆍ미륵(彌勒)보살ㆍ청정혜(淸淨慧)보살ㆍ위덕자재(威德自在)보살ㆍ변음(辯音)보살ㆍ정제업장(淨諸業障)보살ㆍ보각(寶覺)보살ㆍ원각(圓覺)보살ㆍ현선수(賢善首)보살 등이 우두머리가 되어 여러 권속들과 더불어 모두 삼매에 들어가서 똑같이 여래의 평등한 법회에 머물렀다.이때에 문수사리보살이 대중 가운데 있다가 자리에서 일어나 부처님 발아래 이마를 대어 예를 올리고 오른쪽으로 세 번 돌고 나서 두 무릎을 세워 꿇어 앉아 합장하고 아뢰었다."대비하신 세존이시여, 바라옵건대 설법을 듣기 위하여 이 모임에 온 대중들을 위하여 여래께서 본래 일으키셨다 청정한 인지(因地)에서의 법다운 수행을 말씀해 주시옵소서. 그리고 보살들이 대승법(大乘法)에 대하여 청정한 마음을 내어 모든 병(病)을 멀리 여의는 방법도 말씀하시어 장차 다가올 말법 세계에서는 대승을 구하는 중생으로 하여금 사견(邪見)에 빠지지 않게 해주시옵소서." 이렇게 말하고 오체투지(五體投地)하며 이와같이 세 번 되풀이 하여 청하였다.원각경문수사리보살장(文殊師利菩薩)그때에 세존께서 문수사리 보살에게 말씀하셨다."훌륭하고 훌륭하도다, 선남자야. 그대들은 이제 여러 보살들을 위하여 여래의 인지(因地)의 법에 맞는 수행을 물어, 말법세계의 일체 중생들로서 대승을 구하는 이로 하여금 바른 자리에 머무를 수 있게 하여 삿된 소견에 떨어지지 않게 하니, 그대들은 자세히 들으라. 내가 지금 그대들을 위해 말해 주리라." 그때 문수사리 보살이 분부를 받들어 기뻐하면서 대중들과 함께 조용히 듣고 있었다."선남자야, 위없는 법왕[無上法王]의 큰 다라니문(陀羅尼門)이 있으니, 그 이름은 원각(圓覺)이니라. 일체의 청정한 진여ㆍ보리ㆍ열반과 바라밀을 흘려 내어서 보살들을 교수(敎授)하시나니, 일체 여래의 본래 일으켰던 인지(因地)는 모두가 청정한 깨달음의 모습을 원만하게 비춤에 의지하여 무명(無明)을 영원히 끊어야 비로소 부처님의 도를 이루느니라.어떤 것이 무명인가 하면, 선남자야, 일체 중생이 한없이 먼 과거로부터 갖가지로 뒤바뀐 것이 마치 길 잃은 사람이 방위를 잘못 아는 것과 같나니, 4대(大)를 잘못 알아 제 몸이라 하고, 6진(塵)의 그림자를 제 마음이라고 하느니라. 비유하면 눈병이 나면 허공의 꽃[空中花]과 헛것으로 비추는 달[第二月]을 보는 것과 같으니라.선남자야, 실로 허공에는 꽃이 없거늘 눈병 난 이가 망령되이 집착하는 것이니, 망령된 집착으로 말미암아 이 허공의 제 성품을 잘못 알았을 뿐만 아니라, 또 실제로 그 꽃이 나오는 자리까지도 모르느니라. 이런 이유로 망령되이 생사를 바퀴 돌 듯 반복하나니, 그러므로 무명(無明)이라고 하느니라.선남자야, 이 무명이란 것은 실제로 본체가 있는 것이 아니다. 마치 꿈을 꾸는 사람이 꿈을 꿀 때에는 없지 않다가 깨고 나면 마침내 얻은 것이 아무것도 없는 경우와 같다. 또 숱한 허공의 꽃[空花]이 허공에서 사라질 때에 사라진 곳이 일정하게 있다고 할 수 없는 것과도 같으니라. 왜냐하면 본래 생겨난 곳이 없기 때문이니라. 일체 중생들은 나는 것이 없는 가운데에서 허망하게도 나고 없어짐이 있다고 여기나니, 그러므로 생사에 바퀴 돌 듯 한다고 말하느니라.선남자야, 여래의 인지(因地)에서 원각(圓覺)을 닦는 이가 이러한 모든 것이 본래 허공 꽃과 같은 줄을 알면 헤맴이 즉시 없어져, 그 생사(生死)를 겪는 몸과 마음도 없어질 것이니, 인위적으로 없애어서 없어지는 것이 아니라, 본래의 성품이 없기 때문이니라. 그 알거나 깨닫는 것도 마치 허공과 같은 것이고, 허공인 줄 아는 것도 곧 허공 꽃의 모양이거니와, 알거나 깨닫는 성품이 없다고도 말할 수 없나니, 있느니 없느니 하는 것을 다 버려야 이를 곧 청정한 깨달음을 수순하는 것이라 하리라.왜냐하면 허공의 성품이기 때문이며, 항상 요동치지 않기 때문이요, 여래장(如來藏) 안에서는 일어나고 소멸하는 것이 없기 때문이며, 알거나 보는 것이 없기 때문이요, 법계의 성품 똑같이 끝끝내 원만하여 시방에 두루한 것 같기 때문이니라. 이것을 일러 인지(因地)의 법다운 수행이라 하나니, 보살은 이것을 의지하여 대승법의 청정한 마음을 내는 것이며, 말법 세계의 중생들도 이것을 의지하여 닦아 행하면 삿된 소견에 빠지지 않으리라."그때 세존께서 이런 이치를 거듭 펴시기 위해 게송으로 말씀하셨다.문수여, 그대는 마땅히 알라.모든 여래께서 본래 발심했던 인지((因地))로부터모두 이 지혜의 깨달음으로 무명을 분명히 깨치셨느니라.文殊汝當知,一切諸如來,從於本因地,皆以智慧覺,了達於無明.저것이 허공 꽃과 같은 줄 알면생사에 굴러다님 면할 수 있으리니마치 꿈을 꾸는 사람이깨고 나면 얻은 것이 없는 것과 같으니라.知彼如空花,卽能免流轉,又如夢中人,醒時不可得.깨달아 안다는 것도 허공 같아서평등하여 요동함이 전혀 없나니깨달음이 시방에 두루하므로곧 불도(佛道) 이루게 되리라.覺者如虛空,平等不動轉,覺遍十方界,卽得成佛道.온갖 환(幻)이 소멸하는 흔적이 없듯이부처님 도 이루는 것도 역시 그러하니본 성품이 본래부터 원만하기 때문이니라.衆幻滅無處,成道亦無得,本性圓滿故.보살은 이에 의지해서보리의 마음을 내어야 하며말법세계의 모든 중생들도이 법을 닦으면 삿된 소견 면하리라.菩薩於此中,能發菩提心,末世諸衆生,修此免邪見.원각경 보현보살장(普賢菩薩)이때 보현보살이 대중 가운데 있다가 자리에서 일어나 부처님 발에 이마를 대어 예를 올리고, 오른쪽으로 세 바퀴 돌고나서 단정히 몸을 세운 채 꿇어 앉아 함장하고[長跪叉手] 부처님께 아뢰었다."대비(大悲)하신 세존이시여, 바라옵건대 이 모임에 모인 여러 보살들과 말법세계의 일체 중생으로서 대승을 닦으려는 이들을 위하여 말씀해 주시옵소서. 이 원각(圓覺)의 청정한 경계를 듣고 어떻게 수행해야 합니까?" 세존이시여, 저 중생들이 환(幻)과 같은 것임을 아는 이들이라면 그의 몸과 마음도 환이거니, 어떻게 환으로써 다시 환을 닦으오리까? 만일 온갖 환의 성질이 다 없어지는 것이라 하면 곧 몸과 마음마저도 없어지리니 누가 수행하는 것이오며, 어찌하여 또 환과 같은 것을 수행하라고 말씀하시옵니까?만일 모든 중생들이 처음부터 수행하지 않는다면 생사 속에서 항상 환화(幻化)에 묻혀 있어서 일찍이 환과 같은 경계임을 분명하게 알지 못하리니, 망상(妄想)의 마음에서 어떻게 벗어나오리까? 바라옵건대 말법 세계의 모든 중생들을 위하여 말씀해 주십시오. 어떠한 방편과 점차(漸次)를 닦아 익혀야 모든 중생들로 하여금 온갖 환을 영원히 여의도록 하겠나이까?" 이렇게 말하고는 오체투지하며, 이와 같이 세 번 청하여 거듭 되풀이하였다.그때 세존께서 보현보살에게 말씀하셨다. "훌륭하고 훌륭하도다, 선남자야. 그대는 이제 모든 보살들과 말법 세계의 중생들을 위하여 보살이 환(幻)과 같은 삼매를 닦아 익히는 방편과 그 점차(漸次)를 물어서 모든 중생들로 하여금 온갖 환을 여읠 수 있게 하는구나. 그대들은 자세히 들으라. 내가 지금 그대들을 위해 말해 주리라." 그때 보현보살은 분부를 받들고 기뻐하면서 대중들과 함께 귀를 기울이고 있었다."선남자야, 일체 중생들의 갖가지 환화(幻化)가 모두 여래의 원각묘심(圓覺妙心)에서 나온 것이니, 마치 허공의 꽃이 허공에 생긴 것과 같다. 환(幻)인 허공의 꽃은 없어지더라도 허공의 본성은 무너지지 않나니, 중생의 환인 마음도 다시 환에 의하여 없어질 것이나, 모든 환이 다 없어진다 하더라도 본각(本覺)의 마음만은 움직이지 않느니라. 환에 의하여 본각을 말할지라도 그 이름은 환이며, 만일 본각이 있다고 말할지라도 오히려 환을 여의지 못한 것이며, 본각이 없다고 말할지라도 역시 그러하니라. 그러므로 환이 없어져야 동요하지 않는
원각경 (圓覺經), 본각(本覺)
네이버 블로그 · 2025년 4월 21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