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강반야바라밀경찬 한글金剛般若波羅蜜經簒이와 같이 내가 들었다. 선남자, 선여인이 이 금강경찬 한 권을 지니어 독송하면 금강경 30만번을 독송한 것과 같으며 또한 신령한 가피와 호법성중들이 이끌어 구해주시는 가피를 입는다.당나라 대력 7년에 비산현 현령 유씨의 딸이 19살에 죽어 7일째 되던 날 염라대왕이 물었다. "세상에서 일생 동안 특별히 어떠한 일을 하였느냐?"여자가 답하였다. "일생동안 오로지 금강경을 독송하였습니다."또 다시 물었다."어찌하여 금강경찬을 염송하지 않았느냐?"또 다시 여자가 답하였다."제가 살던 세상에는 그런 경이 없었기 때문입니다."그러자 다시 염라대왕이 말하였다."너를 인간 세상에 보낼 것이니 이 경문을 분명히 기억해 두도록 하라."금강경은 "이와 같이 내가 들었다" 부터 "믿고 지니어 받들어 행하였다"에 이르기까지 모두 5,149자 이다.그 가운데 부처님 69번, 세존 51번, 여래 85번, 보살 37번, 수보리 138번, 선남자 선여인 26번, 하이고 38번, 중생 36번, 여시 30번, 아뇩다라삼먁삼보리 29번, 보시 21번, 복덕 18번, 항하사 13번, 미진 12번, 삼천대천세계 7번, 삼십이상 7번, 공덕 8번, 장엄 8번, 바라밀 5번, 수다원 4번, 사다함 4번, 아나함 4번, 아라한 4번 나온다. 이것이 곧 4성과의 선인이니 그것은 내가 아득히 먼 옛날 가리왕에게 몸을 찢길 때에 만약 나란 생각이 있었고, 남이란 생각이 있었고, 중생이라는 생각이 있었고, 오래 산다는 생각이 있었다면 마땅히 성내고 원망하는 마음을 내었을 것이니라아라한 성자는 단, 한번도 [나라는 관념] [남이라는 관념] [중생이라는 관념] [오래 살려는 관념] 이 없었다고 하셨느니라. 또한 비구니 3번과 4구게 7번 나오느니라. 마하반야바라밀.=====금강경찬 한문金尙經纂 漢字여시아문. 선남자선여인 수지독송 차경찬일권女是我聞. 善男子善女人 受持讀誦 此經纂一卷여전금강경 삼십만편 우득신명가피 중성제휴如轉金剛經 三十萬遍 又得神明加被 衆聖提携국건대력칠년 비산현령 유씨여자 년일십구세신망國建大曆七年 毘山懸令 劉氏女子 年一十九歲身亡지칠일 득견염라대왕 문왈. "일생이래 작하인연"至七日 得見閻羅大王 問曰. "一生已來 作何因緣"여자 답왈. "일생이래 편지득금강경"女子 答曰. “一生已來 偏持得金剛經”우문왈. "하불년금강경찬" 又問曰. “何不念金剛經纂”여자 답왈. "연세상무본"女子 答曰. “緣世上無本”왕왈. "방여환활 분명기취경문. 종여시아문 지신수봉행 도계 오천일백사십구자, 王曰. “放汝還活 分明記取經聞. 從如是我聞 至信受奉行 都計 五千一百四十九字,육십구불, 오십일세존, 팔십오여래,六十九佛, 五十一世尊, 八十五如來,삼십칠보살, 일백삼십팔수보리, 이십육선남자선녀인,三十七菩薩, 一百三十八須菩提, 二十六善男子善女人,삼십팔하이고, 삼십육중생, 삼십일어의운하, 삼십여시,三十八何以故, 三十六衆生, 三十日於意云何, 三十如是,이십구아뇩다라삼먁삼보리, 이십일보시, 십팔복덕,二十九阿耨多羅三邈三菩提, 二十一布施, 十八福德,일십삼항하사, 십이미진, 칠개삼천대천세계, 칠개삼십이상, 팔공덕,一十三恒河沙, 十二微塵, 七箇三千大千世界, 七箇三十二相, 八功德,팔장엄, 오바라밀, 사수다원, 사사다함, 사아나함, 사아라한,八莊嚴, 五波羅蜜, 四須陀洹, 四斯陀含, 四阿那含, 四阿羅漢,차시 사과선인 여아석위가리왕 할절신체,此是 四果僊人 如我昔爲歌利王 割截身體,여아왕석 절절지해시 약유아상인상중생상수자상 일일무아견인견중생견수자견,如我往昔 節節支解時 若有我相人相衆生相壽子相 一一無我見人見衆生見壽子見,삼비구니, 수내 칠 사구게.三比丘尼, 數內 七四句偈.마하반야바라밀.摩訶般般若波羅密. 금강경 한글, 金剛經 금강반야바라밀경 金剛般若波羅蜜經 1. 법회인유분(法會因由分) 이와 같이 나는 들었다. 어느때 부처님께서... blog.naver.com https://blog.naver.com/richvow/223836556626=====금강경찬(金剛經簒)은 금강경을 독송(수행) 후, 회향하는 (廻向)경문으로 고려 후기 승려 혜심이 「금강반야바라밀경」을 찬탄하고 주석을 붙인 책이다. 살아생전 금강경을 독경했다하더라도 금강경찬을 읽지 않았으니, 다시 독경하고 오라며, 세상으로 돌려 보낸 염라대왕 설화로 금강경찬을 독송하면 금강경 30만 번을 독송하는 것과 같다고 전해진다.

금강경찬, 金剛經纂, 금강경 회향문
네이버 블로그 · 2025년 4월 21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