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광명경 1권, (金光明經)

금광명경 1권, (金光明經)

제 일 금광명경 서품第一 金光明經 序品1. 서품(序品)이와같이 내가 들었다.부처님께서 왕사성(王舍城)의 기사굴산(耆闍崛山)에 계실 때에 한량없고 매우 깊은 법의 성품인 여러 부처님의 행하신 곳에 노니시니, 여러 보살보다 뛰어나시어 행하심이 깨끗하셨다.이 『금광명경』은모든 경전 중의 왕이니이 경을 들은 이는 이렇게 생각할 수 있으리.위없고 미묘하고매우 깊은 뜻을 간직하고 있다고.是金光明,諸經之王!若有聞者,則能思惟,無上微妙,甚深之義.이러한 경전은어느 때나 사방의 네 부처님께서돌보아 주시나니如是經典,常爲四方,四佛世尊,之所護持:동쪽의 아촉불(阿閦佛)남쪽의 보상불(寶相佛)서쪽의 무량수불(無量壽佛)북쪽의 미묘성불(微妙聲佛)이시네.東方阿閦、南方寶相、西無量壽、北微妙聲.내가 이제 마땅히참회하는 법을 말하리니,여기서 나오는 공덕이야말로이보다 더 함이 없네.我今當說,懺悔等法,所生功德,爲無有上;모든 괴로움 부숴 버리고좋지 못한 업(業) 끝내리니온갖 지혜도 이것이 근본일세.能壞諸苦,盡不善業,一切種智,而爲根本;한량없는 공덕도이것으로 장엄(莊嚴)하며온갖 고통은 없애주고그지없는 즐거움 주게 되오리.無量功德,之所莊嚴;滅除諸苦,與無量樂.몸이 어디가 불구자이거나목숨이 짧거나가난하고 곤궁하거나천신(天神)들이 버리고 떠났거나諸根不具、壽命損減、貧窮困苦、諸天捨離、친척 간에 소송으로 싸우거나왕법(王法)에 걸리거나각각 서로 다투어서재물을 없애거나親厚鬪訟、王法所加、各各忿諍、財物損耗、근심 걱정에 공포심까지불길한 별과 모든 재앙삿된 저주(咀呪) 등등변괴가 끊이지 않거나愁憂恐怖、惡星災異、衆邪蠱道、變怪相續、밤에 누우면 나쁜 꿈 꾸고낮이면 수심짓고 근심하는 이들깨끗하게 목욕하고이 경의 말씀 들을지니臥見惡夢、晝則愁惱,當淨洗浴,聽是經典.지극한 마음 청정하게정결한 옷 갈아입고서오로지 한 마음으로 모든 부처님의매우 깊이 행하신 법문 말씀 들으면至心淸淨,著淨絜衣,專聽諸佛,甚深行處.이 경의 위덕이야말로이러한 여러가지 나쁜 변괴를모두 없애주고고요하고 기쁜 일 가져다주리.是經威德,能悉消除,如是諸惡,令其寂滅.이 세계를 옹호하는 사천왕들은모든 권속과 수많은 야차들을 거느리고이 경전 가져 외우는 이에게모두 와서 정성들여 옹호하리.護世四王、將諸官屬、幷及無量,夜叉之衆,悉來擁護,持是經者.대변천(大辯天)신니련하(尼連河)신과귀자모(鬼子母)신견뢰(堅牢)지신大辯天神、尼連河神、鬼子母神、地神堅牢、대범존천(大梵尊天)삼십삼천(三十三天)대신용왕(大神龍王)긴나라(緊那羅)왕大梵尊天、三十三天、大神龍王、緊那羅王、가루라(迦樓羅)왕아수라(阿修羅)왕들도그들의 권속을 거느리고이 경 외우는 이에게 와서밤낮을 떠나지 않고 옹호하리.迦樓羅王、阿脩羅王、與其眷屬,悉共至彼,擁護是人,晝夜不離.내가 이제 말하려는모든 불세존의매우 깊고 비밀하고 미묘한모든 부처님께서 행하시던 것은억백천 겁 동안에도만나기 어려운 것.我今所說,諸佛世尊,甚深秘密,微妙行處,億百千劫,甚難得値.이 경의 말씀을 듣거나남을 위하여 설명하거나정성스런 마음으로 따라 기뻐하거나이 경전에 공양을 올리면若得聞經、若爲他說、若心隨喜、若設供養,이런 사람들은한량없는 오랜 세월을 두고언제나 끊임없이 하늘 사람들과8부 신장들에게 공경함을 받으리.如是之人,於無量劫,常爲諸天、八部所敬.이렇게 닦고 수행하여서공덕을 쌓은 이는생각할 수 없고 그지없는복 덩어리를 얻으리.如是修行,生功德者,得不思議,無量福聚;또한 시방세계의모든 부처님과깊은 행을 가진 보살들에게돌보아 주심을 받으리.亦爲十方,諸佛世尊、深行菩薩,之所護持.깨끗한 옷을 입고좋고 묘한 향을 피워자비의 마음으로 이 경에 공양 올리어언제나 떠나지 말고著淨衣服、以上妙香,慈心供養,常不遠離;몸과 마음을 청정하게 하여더러운 때 한 점 없게 하고기쁘고 즐거운 마음으로이 경전을 깊이 좋아하라.身意淸淨,無諸垢穢,歡喜悅豫,深樂是典.이 경 설하는 말씀을 듣기만 하더라도결정코 인도(人道)에 태어나되사람 몸 받음은 물론악업 짓지 않고 정도(正道)의 생활하리.若得聽聞,當知善得,人身人道,及以正命;만일 참회(懺悔)하는 법문을 듣고서마음속에 지녀 잊지 않으면이런 좋은 선근(善根)모든 부처님께서 칭찬하시리.若聞懺悔,執持在心,是上善根,諸佛所讚.제 이 금광명경수량품第 二 金光明經壽量品2. 수량품(壽量品)그때에 왕사성에 신상(信相)이라는 이름을 가진 보살마하살이 있었다. 그는 일찍이 지난 세월 한량없는 억 나유타(那由陀) 백천 부차님께 공양하여 모든 선근을 심은 이었다.이 신상보살은 이렇게 생각하였다.'어떤 인연(因緣)으로 석가여래(釋迦如來)의 목숨은 짧아서 겨우 80년만 사시게 되었을까.'또 다시 이렇게 생각했다.'부처님의 말씀대로 말하면 두 가지 인연이 있으면 목숨이 깊다고 하셨는데, 그 둘이란, 첫째는 산목숨을 죽이지 않는 것이고, 둘째는 남에게 먹을 것을 주는 것이다. 그런데 우리 부처님께서는 한량없는 백천억 나유타 아승기겁 동안에 산목숨을 죽이지 않는 계행[不殺戒]을 닦아 열 가지 착한[十善] 업을 갖추셨고, 음식으로써 남에게 보시한 것이 한량없을 뿐만 아니라, 부처님 자신의 뼈와 살과 피를 굶주린 중생들에게 내주어 배불리 먹게 하셨거늘, 하물며 그 밖의 음식이겠는가.'신상보살은 이렇게 성심으로 부처님을 생각하였다.신상보살이 이렇게 생각할 적에 그가 있는 방이 저절로 넓어지고 장엄하게 꾸며졌다. 검푸른 하늘빛의 유리(琉璃)보배와 가지가지 보배가 사이사이 섞이어 땅 바닥이 되었는데, 마치 부처님께서 계시는 정토(淨土)세계와도 같았다. 묘한 향기는 모든 하늘나라의 향기보다 훨씬 더 낫고, 연기 구름이 드리워 퍼져서 그 방안에 가득 찼다. 방 네 구석에는 네 가지 보배로 된 훌륭한 높은 평상이 저절로 나타났는데 순전히 하늘 옷으로 자리[敷具]가 깔려졌다.이 훌륭한 평상 위에는 여러 부처님들께서 수용하실 여러가지 보배로 된 연꽃이 있고, 이 연꽃 위에는 네 분 부처님께서 계셨으니, 동쪽에는 아촉불(阿閦佛), 남쪽에는 보상불(寶相佛), 서쪽에는 무량수불(無量壽佛), 북쪽에는 미묘성불(微妙聲佛)이셨다.이 네 분 부처님께서 사자좌(獅子座) 위에 앉으시어 큰 광명을 놓으사, 왕사성과 삼천대천세계며, 나아가 시방(十方)의 항하(恒河:갠지스강)의 모래알처럼 많은 여러 부처님 세계에까지 두루 비추니, 온갖 하늘 꽃이 비오듯 내리고 하늘의 풍악이 흘러 퍼졌다.이때에 삼천대천세계의 중생들은 부처님의 신통력으로 천상의 기쁨을 받았는데, 몸의 여러 기관이 병신인 불구자는 이내 온전한 몸이 되었다. 말하자면 온갖 세간의 모든 이익과 전에 없던 처음 보는 일이 모조리 나타났다.이때에 신상보살은 여러 부처님과 희유한 일들을 보고 즐거워 뛰놀면서 공경하며 합장하고 여러 부처님께 지극한 마음으로 염불하면서 이런 생각을 하였다.'석가여래께서는 한량없는 공덕이 있으시건만, 오직 수명에 대해서는 의혹심(疑惑心)이 난다. 어찌하여 여래의 수명이 이렇듯 80뿐이실까.'이때에 네 분 부처님께서는 옳게 다 아시는[正遍知:정변지] 지혜로 신상보살에게 말씀하셨다."착한 남자여, 그대는 지금 여래의 수명이 짧다고 생각하지 말라. 왜냐하면 착한 남자여, 우리들은 천상 사람이나 세간 사람이나 마군(魔軍)의 무리나 범천(梵天)이나 사문(沙門)이나 바라문이나 사람과 사람 아닌 것들을 막론하고 여래가 아니고서는 여래의 수명을 생각하고 계산하여 그 한계를 알아 내는 이가 있는 것을 보지 못하였다."이때에 네 분 여래께서 석가모니 부처님의 가지신 수명을 말씀하시려고 하니, 욕계천(欲界天)ㆍ색계천(色界天)과 용ㆍ귀신ㆍ건달바(乾闥婆)ㆍ아수라(阿修羅)ㆍ가루라(迦樓羅)ㆍ긴나라(緊那羅)ㆍ마후라가(摩睺羅迦)와 한량없는 백천억 나유타 보살마하살들이 부처님의 신통력으로써 신상보살마하살의 방에 모두 와서 모였다.이때에 네 분 부처님께서는 대중 가운데서 간략하게 게송의 비유로써 석가여래께서의 가지신 수명을 말씀하셨다.온갖 여러가지 물이몇 방울인 것은 알 수 있을지라도석존(釋尊)의 수명은 능히 셀 수 없네.一切諸水,可知幾滴,無有能數,釋尊壽命.여러 수미산(須彌山)들이몇 근(斤)ㆍ양(兩)인지 알 수 있...


원문링크 금광명경 1권, (金光明經)

 등록된 모든 글

자경문, 自警文, 불교입문 초발심(初發心)
고왕경 한자, 高王經
관세음보살수기경, 觀世音菩薩授記經
금광명경 4권, 金光明經 券四
금광명경 3권, 金光明經 三券
금광명경 1권, (金光明經)
금광명경 2권, 金光明經 二券
금광명경 목차, 金光明經 目次
불설업보차별경, 佛說業報差別經
약사여래본원경 한글, 藥師如來本願經
금강경 진언(金剛經 眞言)
반야심경(般若心經)
천수경(千手經 )
백팔대참회문 (百八大懺悔文)
삼십칠존예참문(三十七尊禮懺文)
법화경 약찬게 (法華經 略纂偈)
예불문 칠정례 (禮佛文 七頂禮)
금강경 사구게 (金剛經 四句偈)
능엄신주 한글 (大佛頂楞嚴神呪)
능엄신주(楞嚴神呪)
금강경 목차(金剛經)
아미타경 한문 (佛說阿彌陀經)
아미타경 한글(​佛說阿彌陀經)
무량수경우바제사원생게
지장보살본원경 한글, 地藏菩薩本願經
불정심 관세음보살 모다라니
불설수구즉득대자재다라니 (佛說隨求卽得陀羅尼)
약사여래본원경 한문(漢字)
지장경사구게 (地藏經 四句偈)
지장보살구족수화길상광명대 (地藏菩薩具足水火吉祥光明大)
지장보살 약찬게 한문 (地藏菩薩 略讚偈)
관세음보살보문품 한자(漢字)
화엄경약찬게 (華嚴經 略纂偈)
불설변조반야바라밀경, 佛說徧照般若波羅蜜經
불설수생경(佛說壽生經)
원각경 (圓覺經), 본각(本覺)
금강경 한자, 金剛般若波羅蜜經
금강경찬, 金剛經纂, 금강경 회향문
금강경 한글, 金剛經