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년공덕재] 생전예수제(生前豫修齋), 명부시왕

[윤년공덕재] 생전예수제(生前豫修齋), 명부시왕

조계사 명부전(지장보살,아미타불,관세음보살) 생전예수재는 윤달(4년에 한 번 있는 달)에 49일 동안 자신의 죄업을 참회하고 맑게 닦는 중요한 날이다. 4년 마다 1번, 윤달이 있는 해에만 기회가 주어지므로, 전생과 현생에서 알게 모르게 저지른 잘못, 업장(業障)을 사찰 행사인 윤덕공덕제를 통해 참회하여 씻어 낼 수 있다. 모든 인간은 전생에서 다음생으로 넘어갈 때, 업장을 따라 명부(冥府)에 약속한 것들을 회향하기로 약속하고 태어났다. 생전에 사후의 왕생을 빌고 닦는 의식인 예수제(預修齋)는 사후에 갚아야 할 빚과 과보를 생전에 미리 복전(福田)을 일구는 의식이다. 조계사 대웅전 전생, 현생의 빚을 갚기로 한 내용으로는 금강경(金剛經)과 수생전(壽生經), 갚아야 할 흠전량(欠錢量), 읽기로 약속된 경전(經典) 등으로, 명부시왕에 정성을 다해 올린다. 생전예수제는 칠성여래불, 관세음보살, 지장보살, 인로왕보살이 강림하시어, 진심으로 참회하는 중생에게 범패와 감로미를 베풀어 보살펴 주신다고 한다. 선망부모의 극락왕생을 발원하고, 본인의 현재를 맑게 닦아 미래생을 준비하는 불교 전통의례이다. 근거가 되는 경전은 <지장보살본원경>, <불설예수시왕생칠경(佛說預修十王生七經), <불설수생경(佛說壽生經)이다. 예수제(豫修齋)는 말 그대로 "미리 닦는다"는 뜻이다. 조계사 명부시왕 명부시왕(冥府十王)사람이 죽으면 3일간 이승에서 머물다가 명부사자(冥府使者)의 인도로 명부로 간다. 죽은 자는 시왕(十王) 중 7명의 대왕에게 순서대로 각각 7일씩 49일동안 심판을 받는다. 그러나 살면서 죄업을 많이 지은 자는 49일 이후 3명의 대왕에게 다시 심판을 받는데, 죽은 후 100일이 되는 날은 제 8 평등대왕, 그리고 1년이 되는 날에는 제 9 도시대왕, 3년째에는 제 10 오도전륜대왕의 심판을 받아 총 3년의 기간동안 명부시왕의 심판을 받는다.시왕(十王) 은 불교 경전에서 등장하는 지옥의 신들이다. 《시왕경(十王經)》에서 명계(冥界)에서 사자(死者)에 대한 죄의 경중(輕重)을 다루는 10명의 왕들을 말한다. 조계사 진광대왕 제 1 진광대왕(秦廣大王)정광불(定光佛)[과보:果報]죽은지 칠일 째 되는 날에 망자가 처음으로 맞이하는 심판관으로 도산지옥(刀山地獄)을 다스린다. 이 곳에서는 주로 살생의 죄를 집중적으로 다룬다. 동물을 죽이거나, 사람에게 상해를 입히는 등 생명을 경시한 모든 행위가 심판의 대상이 된다. [처벌:處罰]도산지옥 심판을 받은 죄가 무거운 망자는 칼날이 솟아 오르는 산을 오르내리거나, 날카로운 칼날로 이루어진 다리를 건너야 하는 고통을 겪게 된다. 이 고통은 살아생전 다른 생명에게 가한 고통을 그대로 되돌려 받는다는 의미를 담고 있다. 생전 공덕여부로 처벌을 결정한다.[감면요건]생전에 선행(善行)을 하고 덕(德)이 있는 자.[가피:加被]진광대왕은 손에 든 지혜의 검으로 망자의 세속집착을 끊도록 인도해준다. 악을 끊어내고 선을 닦도록 이끄는 역활을 하며, 정광불(定光佛)이 진광대왕의 원불(原佛)이시다.※ 육십갑자에 따라 심판이 정해져 있으므로, 윤년공덕제 참석시 각자의 생년을 찾아서 해당하는 시왕님 존호 앞에서서 정성을 올린다. 제 1 진광대왕 명부(경오생, 신미생, 임신생, 계유생...


원문링크 [윤년공덕재] 생전예수제(生前豫修齋), 명부시왕

 등록된 모든 글

[윤년공덕재] 생전예수제(生前豫修齋), 명부시왕
[우란분절] 사찰 백중기도 비용, 위치, 시간
관세음보살 42수진언 한자, 觀世音菩薩 四十二手 眞言 原文
미래성수겁천불명경(未來星宿劫千佛名經)
현재현겁천불명경(現在賢劫千佛名經)
과거장엄겁천불명경(過去莊嚴劫千佛名經)
자경문, 自警文, 불교입문 초발심(初發心)
고왕경 한자, 高王經
관세음보살수기경, 觀世音菩薩授記經
금광명경 4권, 金光明經 券四
금광명경 3권, 金光明經 三券
금광명경 1권, (金光明經)
금광명경 2권, 金光明經 二券
금광명경 목차, 金光明經 目次
불설업보차별경, 佛說業報差別經
약사여래본원경 한글, 藥師如來本願經
금강경 진언(金剛經 眞言)
반야심경(般若心經)
천수경(千手經 )
백팔대참회문 (百八大懺悔文)
삼십칠존예참문(三十七尊禮懺文)
법화경 약찬게 (法華經 略纂偈)
예불문 칠정례 (禮佛文 七頂禮)
금강경 사구게 (金剛經 四句偈)
능엄신주 한글 (大佛頂楞嚴神呪)
능엄신주(楞嚴神呪)
금강경 목차(金剛經)
아미타경 한문 (佛說阿彌陀經)
아미타경 한글(​佛說阿彌陀經)
무량수경우바제사원생게
지장보살본원경 한글, 地藏菩薩本願經
불정심 관세음보살 모다라니
불설수구즉득대자재다라니 (佛說隨求卽得陀羅尼)
약사여래본원경 한문(漢字)
지장경사구게 (地藏經 四句偈)
지장보살구족수화길상광명대 (地藏菩薩具足水火吉祥光明大)
지장보살 약찬게 한문 (地藏菩薩 略讚偈)
관세음보살보문품 한자(漢字)
화엄경약찬게 (華嚴經 略纂偈)
불설변조반야바라밀경, 佛說徧照般若波羅蜜經
불설수생경(佛說壽生經)
원각경 (圓覺經), 본각(本覺)
금강경 한자, 金剛般若波羅蜜經
금강경찬, 金剛經纂, 금강경 회향문
금강경 한글, 金剛經