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세음보살 42수진언 한자, 觀世音菩薩 四十二手 眞言 原文

관세음보살 42수진언 한자, 觀世音菩薩 四十二手 眞言 原文

제 1수 觀世音菩薩 如意寶珠 眞言관세음보살 여의보주수(如意寶珠)진언『 옴 바아라 바다라 훔 반타 』唵嚩曰囉嚩哆囉吽泮吒.물질적 풍요와 안락한 생활을 위한 진언이다.: 원하는 모든 것을 이루어 주는 여의주를 손에 든 관세음보살의 수인으로, 여의보주수진언을 염송하면 재물과 풍요를 얻는다. 제 2수觀世音菩薩 羂索手 眞言관세음보살 견색수(羂索手)진언『 옴 기리나라 모나라 훔 바탁 』唵枳哩攞囉謨捺囉吽泮吒.온갖 불안 속에서 마음이 편안해지기 위한 진언이다.: 밧줄(견삭:羂索)을 들고 계신 관세음보살의 수인으로, 견색은 여러 색실오 꼰 줄을 뜻한다. 부동명왕, 불공견삭관음, 천수관음보살이 들고 계시는데, 부처나 보살이 중생을 여러 방편으로 구제하는 것을 상징한다. 밧줄은 중생을 구제하는 도구이자 악을 묶는 힘을 상징한다. 마음의 불안을 잠재우고 평온을 구하고자 하려거든 견삭수진언을 염송한다.제 3수觀世音菩薩 寶鉢手 眞言관세음보살 보발수(寶鉢手)진언『 옴 기리기리 바아라 훔 바탁 』唵枳哩枳哩嚩曰囉吽泮吒.뱃속에 가득한 갖가지 병을 없애기 위한 진언이다.: 보배로운 발우(鉢)를 들고 계신 관세음보살의 수인으로, 병고를 치유하는 힘을 상징한다. 특히 복부질환의 치유를 원한다면 보발수진언을 염송한다.제 4수觀世音菩薩 寶劍手 眞言관세음보살 보검수(寶劍手)진언『 옴 제세제야 도미니 도제 삿다야 훔 바탁 』唵帝勢帝惹覩尾儜覩提婆馱野吽泮吒.도깨비와 귀신들의 항복을 받기 위한 진언이다.: 지혜의 칼을 들고 계신 관세음보살의 수인으로, 지혜의 칼은 번뇌와 악귀를 베어내는 힘을 나타낸다. 사악한 기운을 물리치고자 한다면 보검수진언을 염송한다.제 5수觀世音菩薩 跋折羅手 眞言관세음보살 바아라수(跋折羅手)진언『 옴 이베이베 이파야 마하 시리예 사바하 』唵儞陛儞陛儞跛野摩訶室哩曳薩嚩賀.모든 천신, 악마, 외도 등을 항복시키기 위한 진언이다.: 금강저(金剛杵)를 들고 계신 관세음보살의 수인으로, 발절라(금강저)는 깨지지 않는 지혜와 강력한 힘을 나타낸다. 수행을 방해하는 모든 장애를 물리치고, 극복하고자 한다면 발절라수진언을 염송한다.제 6수觀世音菩薩 金剛杵手 眞言관세음보살 금강저수(金剛杵手)진언『 옴 바아라 아니바라 닙다야 사바하 』唵嚩曰囉祇儜鉢囉儞鉢多野薩嚩賀.모든 적을 항복시키기 위한 진언이다.: 금강저를 들고 계신 관세음보살의 수인으로, 금강저(金剛杵)는 적대적인 세력을 물리치는 강력한 무기이다. 원한관계나 외부의 공격으로부터 자신을 보호하고자 하거든 금강저수진언을 염송한다.제 7수觀世音菩薩 施無畏手 眞言관세음보살 시무외수(施無畏手)진언『 옴 바아라나야 훔 바탁 』唵嚩曰羅曩野吽泮吒.언제 어디서든 불안한 마음을 없애기 위한 진언이다.: 손을 들어 중생에게 두려움 없음을 베푸시는 관세음보살의 수인으로, 마음의 공포를 제거하고 용기를 얻고자 할 때, 시무외수진언을 염송한다.제 8수觀世音菩薩 日精摩尼手 眞言관세음보살 일정마니수(日精摩尼手)진언『 옴 도비가야 도비바라 바니리 사바하 』唵度比迦野度比鉢囉嚩哩儜薩嚩賀.눈이 어두워져서 밝은 눈을 가지기 위한 진언이다.: 태양처럼 밝은 보석을 들고 계신 관세음보살의 수인으로, 밝은 보석은 어둠을 밝히는 힘을 상징한다. 시력회복이나 영적인 눈을 뜨기 원하거든 일정마니수진언을 염송한다.제 9수觀世音菩薩 月精摩尼手 眞言관세음보살 월정마니수(月精摩尼手)진언『 옴 소싯디 아리 사바하 』唵蘇悉地揭哩薩嚩賀.열병을 앓아서 서늘해지기 위한 진언이다.: 달처럼 시원한 보석을 들고 계신 관세음보살의 수인으로, 열기를 식히는 힘을 나타낸다. 열병이나 번뇌의 열기를 가라앉히고자 한다면 월정마니수진언을 염송한다.제 10수觀世音菩薩 寶弓手 眞言관세음보살 보궁수(寶弓手)진언『 옴 아자미례 사바하 』唵阿左尾㘑薩嚩賀.승진하거나 높은 관직을 얻기 위한 진언이다.: 활을 들고 계신 관세음보살의 수인으로, 활은 목표를 향해 나아가는 의지와 성취를 상징한다. 사회적 성공이나 명예를 구하고자 하거든 보궁수진언을 염송한다.제 11수 觀世音菩薩 寶箭手 眞言관세음보살 보전수(寶箭手)진언『 옴 가마라 사바하 』唵迦摩攞薩嚩賀.착하고 좋은 친구들을 많이 빨리 만나기 위한 진언이다.: 화살을 들고 계신 관세음보살의 수인으로, 화살은 원하는 목표에 정확히 도달하는 힘을 나타낸다. 좋은 인연을 맺거나 관계 개선을 원하거든 관세음보살 보전수진언을 염송한다.제 12수觀世音菩薩 楊柳枝手 眞言관세음보살 양류지수( 楊柳枝手)진언『 옴 소싯지 가리바리 다남타 목다에 바아라 바아라 반다 하나하나 훔 바탁 』唵蘇悉地迦哩嚩哩哆喃哆目哆曳嚩曰囉嚩曰囉畔馱賀曩賀曩吽泮吒.몸에 생긴 갖가지 질병을 없애기 위한 진언이다.: 버드나무 가지를 들고 계신 관세음보살의 수인으로, 버드나무 가지는 병을 치유하고 부정을 정화하는 힘을 상징한다. 다양한 질병의 치유를 원하거든 양류지수진언을 지극한 마음으로 염송한다.제 13수觀世音菩薩 白拂手 眞言관세음보살 백불수(白拂手)진언『 옴 바나미니 바아바데 모하야 아아 모하니 사바하 』唵鉢娜弭儜婆誐嚩帝謨賀野惹誐謨賀儜薩嚩賀.모든 나쁜 장애와 곤란을 없애기 위한 진언이다.: 흰 불자(拂子: 먼지털이)를 들고 계신 관세음보살의 수인으로, 총채처럼 생긴 불자는 마음의 잡념을 쓸어내고, 번뇌와 장애를 정화시키는 도구이다. 삶의 어려움을 극복하고자 한다면 백불수진언을 지극히 염송한다.제 14수觀世音菩薩 寶甁手眞言관세음보살 보병수(寶瓶手)진언『 옴 아례 삼만염 사바하 』唵揭㘑糝滿焰薩嚩賀.모든 가족과 친척들이 원만하게 화합하기 위한 진언이다. : 보배로운 병을 들고 계신 관세음보살의 수인으로, 보배병은 조화와 풍요를 담고 있다. 가정과 친족들이 원만하게 화합하기를 원한다면 보병수진언을 염송한다.제 15수觀世音菩薩 傍牌手 眞言관세음보살 방패수(傍牌手)진언『 옴 약삼나나야 전나라 다노발야 바사바사 사바하 』唵藥葛釤曩那野戰捺羅達耨播哩野跛舍跛舍薩嚩賀.동물이나 맹수로부터 피해를 당하지 않기 위한 진언이다.: 방패를 들고 계신 관세음보살의 수인으로, 방패는 외부의 위협으로부터 보호하는 힘을 상징한다. 위험한 상황이나 해로운 존재로부터 보호를 받고자 하거든 방패수 진언을 염송한다.제 16수觀世音菩薩 鉞斧手 眞言관세음보살 월부수(鉞斧手)진언『 옴 미라야 미라야 사바하 』唵味囉野味囉野薩嚩賀.언제 어디서나 관재(官災 : 사법기관에 드나드는 재앙)를 당하지 않기 위한 진언이다.: 도끼를 들고 계신 관세음보살의 수인으로, 도끼는 장애를 끊어내는 결단력을 상징한다. 법적인 문제나 공적인 어려움을 피하고자 한다면 월부수진언을 지극한 마음으로 염송한다.제 17수觀世音菩薩 玉環手 眞言관세음보살 옥환수(玉環手)진언『 옴 바나맘 미라야 사바하 』唵鉢娜[手+曼]味囉野薩嚩賀.성별에 관계없이 좋은 친구나 동료를 가지기 위한 진언이다.: 옥고리를 들고 계신 관세음보살의 수인으로, 옥환(玉環)은 옥으로 만든 고리, 원만한 둥근 달을 뜻한다. 원만한 관계와 인연을, 좋은 사람들과의 관계 형성을 원하거든 옥환수진언을 염송한다.제 18수觀世音菩薩 白蓮華手 眞言관세음보살 백련화수(白蓮華手)진언『 옴 바아라 미라야 사바하 』唵嚩曰囉味囉野薩嚩賀.수많은 공을 세우고 온갖 공덕을 이루기 위한 진언이다.: 흰 연꽃을 들고 계신 관세음보살의 수인으로, 흰 연꽃은 청정함과 깨달음, 공덕을 상징한다. 선행과 수행의 공덕을 쌓고자 한다면 백련화수진언을 지극한 마음으로 염송한다.제 19수觀世音菩薩 靑蓮華手 眞言관세음보살 청련화수(靑蓮華手)진언『 옴 기리기리 바아라 불반다 훔 바탁 』唵枳哩枳哩嚩曰囉部囉畔馱吽泮吒.다음생에는 서방정토에서 태어나기 위한 진언이다.: 푸른 연꽃을 들고 계신 관세음보살의 수인으로, 푸른연꽃은 지혜와 정토왕생을 상징한다. 아미타불(阿彌陀佛)의 극락세계에 태어나기를 발원하며 염송한다.제 20수觀世音菩薩 寶鏡手 眞言관세음보살 보경수(寶鏡手)진언『 옴 미보라 나락사 바아라 만다라 훔 바탁 』唵尾薩普囉那囉葛叉嚩曰囉曼荼(攞)吽泮吒.높고 큰 지혜를 얻기 위한 진언이다.: 보배거울을 들고 계신 관세음보살의 수인으로, 보배 거울은 진실을 비추...


원문링크 관세음보살 42수진언 한자, 觀世音菩薩 四十二手 眞言 原文

 등록된 모든 글

[윤년공덕재] 생전예수제(生前豫修齋), 명부시왕
[우란분절] 사찰 백중기도 비용, 위치, 시간
관세음보살 42수진언 한자, 觀世音菩薩 四十二手 眞言 原文
미래성수겁천불명경(未來星宿劫千佛名經)
현재현겁천불명경(現在賢劫千佛名經)
과거장엄겁천불명경(過去莊嚴劫千佛名經)
자경문, 自警文, 불교입문 초발심(初發心)
고왕경 한자, 高王經
관세음보살수기경, 觀世音菩薩授記經
금광명경 4권, 金光明經 券四
금광명경 3권, 金光明經 三券
금광명경 1권, (金光明經)
금광명경 2권, 金光明經 二券
금광명경 목차, 金光明經 目次
불설업보차별경, 佛說業報差別經
약사여래본원경 한글, 藥師如來本願經
금강경 진언(金剛經 眞言)
반야심경(般若心經)
천수경(千手經 )
백팔대참회문 (百八大懺悔文)
삼십칠존예참문(三十七尊禮懺文)
법화경 약찬게 (法華經 略纂偈)
예불문 칠정례 (禮佛文 七頂禮)
금강경 사구게 (金剛經 四句偈)
능엄신주 한글 (大佛頂楞嚴神呪)
능엄신주(楞嚴神呪)
금강경 목차(金剛經)
아미타경 한문 (佛說阿彌陀經)
아미타경 한글(​佛說阿彌陀經)
무량수경우바제사원생게
지장보살본원경 한글, 地藏菩薩本願經
불정심 관세음보살 모다라니
불설수구즉득대자재다라니 (佛說隨求卽得陀羅尼)
약사여래본원경 한문(漢字)
지장경사구게 (地藏經 四句偈)
지장보살구족수화길상광명대 (地藏菩薩具足水火吉祥光明大)
지장보살 약찬게 한문 (地藏菩薩 略讚偈)
관세음보살보문품 한자(漢字)
화엄경약찬게 (華嚴經 略纂偈)
불설변조반야바라밀경, 佛說徧照般若波羅蜜經
불설수생경(佛說壽生經)
원각경 (圓覺經), 본각(本覺)
금강경 한자, 金剛般若波羅蜜經
금강경찬, 金剛經纂, 금강경 회향문
금강경 한글, 金剛經