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세음보살수기경, 觀世音菩薩授記經

관세음보살수기경, 觀世音菩薩授記經

어느 때 부처님께서 바라내(波羅奈)의 녹야원[仙人鹿苑]에 큰 비구들 2만명과 보살 1만 2천명과 함께 계셨다.그 보살들의 이름은 사자(師子)보살ㆍ사자의(師子意)보살ㆍ안의(安意)보살ㆍ무유의(無喩意)보살ㆍ지지(持地)보살ㆍ반라달(般羅達)보살ㆍ신천(神天)보살ㆍ실사(實事)보살ㆍ가후다(伽睺多)보살ㆍ현력(賢力)보살ㆍ명천(明天)보살ㆍ애희(愛喜)보살ㆍ문수사리(文殊師利)보살ㆍ지행(智行)보살ㆍ전행(專行)보살ㆍ현무애(現無碍)보살ㆍ미륵(彌勒)보살들이었다. 이와같은 상수(上首)들을 위시한 보살마하살 1만 2천 사람이 함께 있었으며, 또한 2만의 천자(天子)들이 선계천자(善界天子)와 선주(善住)천자 등을 상수로 하였는데 모두들 대승에 머물러 있었다.그때 세존께서 한량없는 백천의 권속(眷屬)들에 둘러싸여서 이들을 위하여 법을 설하고 계셨다.그때 이 모임 가운데서 어떤 보살 한 사람이 있었는데 그 이름이 화덕장(華德藏)이었다. 그는 곧 자리에서 일어나서 오른쪽 어깨를 벗고는 오른쪽 무릎을 땅에 붙이고 합장을 하고 부처님을 향하여 이와같이 아뢰었다."바라옵건대 세존께서는 저에게 시간을 좀 주십시오. 잠깐 여쭈어 볼 말씀이 있습니다."부처님께서 화덕장보살에게 말씀하셨다."마음껏 물어 보아라. 모든 의심나는 것들을 내가 이미 모두 알고 있으니 마땅히 너를 위해 해설해서 기쁘게 해 주리라."그때 화덕장보살이 부처님께 여쭈었다."세존이시여, 보살마하살이 어떻게 해야 아뇩다라삼먁삼보리와 다섯가지 신통(神通)으로부터 물러나지[退轉] 않을 수 있습니까? 또한 어떻게 해야 여환(如幻)삼매를 얻으며, 선방편(善方便)으로써 능히 그 몸을 변화시켜 각 중생들의 모습[形類]이 이룬 선근(善根)에 따라서 법을 설하여 이들로 하여금 아뇩다라삼먁삼보리를 얻도록 할 수 있습니까?"부처님께서 화덕장보살마하살에게 말씀하셨다."훌륭하고 훌륭하구나. 능히 여래ㆍ등정각 앞에서 이와 같은 뜻을 물어 보았구나. 너 화덕장보살은 이미 과거의 모든 부처님들께 온갖 선근(善根)을 심었으며, 무수한 백천만억의 모든 부처님이신 세존께 공양을 하였고, 저들 모든 중생들에 대하여 크게 자비심을 일으켰던 것이다. 훌륭하구나. 화덕장아, 자세히 잘 듣고 잘 생각해 보아라. 내 마땅히 너를 위해서 이를 설해 주리라.""네, 그렇게 하겠습니다. 바라옵건대 기꺼이 듣고 싶습니다."부처님께서 화덕장 보살마하살에게 말씀하셨다. "일법(一法)을 성취하면 여환삼매를 얻을 수 있으며 이 삼매를 얻으면 선방편을 써서 능히 그 몸을 변화시켜 각 중생들의 모습이 이룬 선근(善根)에 따라서 법을 설하여 이들로 하여금 아뇩다라삼먁삼보리를 얻도록 할 수 있느니라.어떤 것이 그 일법인가? 의지함이 없는 것이니, 삼계(三界)에 의지하지 않는 것이며, 또한 안을 의지하지도 않고 바깥을 의지하지도 않는 것이다. 의지하는 바가 없으므로 바른 관찰[正觀察]을 얻으며, 바르게 관찰하고 나면 곧 정진(正盡)을 얻어서 깨달아서 아는 바에 대하여 어떤 줄어듦[損減]도 없는 것이다. 이와같이 줄어듦이 없는 마음으로 모든 바른 지혜를 헤아리기 때문이니라. 모든 법이란 연(緣)을 따라 일어나는 것이므로 헛되고 거짓된[虛假] 것이라고 말하는 것이니라.모든 법이란 인연 따라서 생기는 것이니 만약 인연이 없다면 생기는 법도 없을 것이니라. 비록 모든 법이 인연을 따라서 생긴다고 하나 그 생하는 바가 없느니라. 이와같이 무생법(無生法)을 통달한다면 그런 자는 보살의 진실한 도에 들어 갈 수 있으며, 또한 이를 이름하여 큰 자비심에 들었다고 하느니라.모든 중생들을 가엾게 여겨 이들을 제도하여 해탈시키고 이와같은 뜻을 깊이 이해할 수만 있다면 그런 자는 모든 법이 마치 허깨비와 같은 것[如幻]이며, 그것은 다만 생각[憶想]과 말[語言]이 만들어낸 법일 뿐이라는 것을 알게 된다. 그러므로 이와같은 생각이나 말이 만들어낸 모든 법은 결국 모두가 공(空)한 것이다.모든 법이 공한 것임을 능히 잘 통달할 수 있다면 이것을 이름하여 여환삼매를 얻었다[逮得]고 하는 것이다. 이외같은 삼매를 얻으면 선방편으로써 능히 그 몸을 변화시켜서 중생들의 모습이 이룬 선근에 따라 법을 설하여 이들로 하여금 저 아뇩다라삼먁삼보리를 얻도록 할 수가 있느니라."그때 화덕장 보살마하살이 부처님께 여쭈었다. "세존이시여, 지금 대중들 가운데 이와같은 삼매를 얻은 보살이 있습니까?"부처님께서 말씀하셨다."있느니라. 지금 이 모임 가운데 미륵보살과 문수사리 등 60명의 정사(正士)들은 불가사의한 큰 서원(誓願)의 장엄(莊嚴)으로 이와같은 삼매를 얻었던 것이다."다시 부처님께 여쭈었다."세존이시여, 그렇다면 오직 지금 이 세계의 보살들만이 이와같은 삼매를 얻는 것입니까? 타방(他方)세계에도 이와같은 여환삼매를 이룬 보살들이 있습니까?"부처님께서 화덕장에게 말씀하셨다."여기서 서쪽으로 억백천의 국토[刹土]를 지나가면 어떤 세계가 있는데, 그 이름을 안락(安樂)이라고 한다. 그 나라에 부처님이 계시는데 그 이름을 아미타(阿彌陀) 여래ㆍ응공ㆍ정변지라고 하며, 지금 현재 법을 설하고 계신다. 그곳에 보살이 있는데, 하나는 이름을 관세음(觀世音)이라고 하고, 또 하나는 이름을 득대세(得大勢)라고 하는데 그들이 이 삼매를 얻었다. 또 화덕장아, 만약 어떤 보살이 저 정사들을 따라서 7일 낮 7일 밤 동안 이 법을 들어서 받아들인다면 그는 곧 이 여환삼매를 얻을 것이다."화덕장보살이 부처님께 아뢰었다."세존이시여, 그 나라에서는 마땅히 한량없는 보살들이 이와 같은 삼매를 얻었을 것입니다. 왜냐하면 그 나머지 보살로서 그 나라에 태어난 자들은 마땅히 다들 저 정사(正士)에게 가서 이 법을 들었을 것이기 때문입니다."부처님께서 말씀하셨다."바로 그렇다. 네가 말한 대로 한량없는 아승기의 보살마하살들이 저 정사를 따라서 이 삼매를 얻었다."화덕장보살이 부처님께 아뢰었다."훌륭하십니다. 세존이시여, 여래ㆍ응공ㆍ정변지께서는 바라건대 그 신력(神力)으로써 저 정사를 지금 우리가 살고 있는 이 세계로 오게 하셔서 양쪽이 서로 만나 볼 수 있게 해주십시오.왜냐하면 저 정사가 이 국토[刹土]에 오게되면 선남자와 선여인은 선근(善根)을 이룰 것이며, 그가 법을 설하는 것을 듣고 이 삼매를 얻을 것이기 때문입니다. 또한 저 안락세계의 아미타불을 만나서, 선남자와 선여인들로 하여금 아뇩다라삼먁삼보리의 마음을 일으킬 수 있도록 하기를 바라며, 저 국토에 태어나기를 바라며, 저 국토에 태어나서 절대로 아뇩다라삼먁삼보리에서 물러나지 않기를 바랍니다."그때 세존께서 그의 청을 받아들이시고는 곧 미간(眉間)의 백호상(白毫相)에서 빛을 방출하셨다. 그 빛이 삼천대천의 국토를 두루 비추었는데, 이 세계의 초목과 토석(土石), 수미산(須彌山)ㆍ왕목진린타산(王目眞隣陀山)ㆍ대목진린타산(大目眞隣陀山)ㆍ작가라산(斫迦羅山)ㆍ대작가라산 내지 이들 세계의 중간에 있는 어둡고 침침한 곳들까지도 모두 금빛으로 크게 밝지 않은 곳이 없었으며, 그 빛나던 해와 달과 큰 힘을 발하던 위력의 광명들이 다시는 그 빛을 나타내지 못하였다.그 빛이 다시 저 서방의 억백천 국토[刹土]와 내지 안락세계를 두루 비추었는데 이곳들이 모두 금빛으로 빛났으며, 그 큰 빛이 저 부처님을 오른쪽으로 일곱바퀴 돈 다음 여래 앞으로 와서 갑자기[廓然] 사라져 버렸다.저 국토의 중생들과 보살과 성문들이 모두 이 국토에 나타났으며, 저 석가모니께서 저 대중들 속에 둘러싸여서 법을 설하시는 것이 보였는데, 마치 손바닥 위에 있는 아마륵과(阿摩勒果)를 보는 것과 같았다.다들 사랑스럽고 즐겁고 기쁜 마음들이 일어나서 '나무(南無) 석가 여래ㆍ응공ㆍ정변지'라고 외쳤다.지금 이 모임에 모인 비구와 비구니, 우바새와 우바이, 천ㆍ용ㆍ야차ㆍ건달바ㆍ아수라ㆍ가루라ㆍ긴나라ㆍ마후라가ㆍ인비인(人非人) 등과 제석ㆍ범천ㆍ사천왕과 보살과 성문들이 다들 한결같이 저 안락세계의 아미타부처님을 보았다.보살과 성문 등 권속들이 이를 둘러싸고 있어서 그 황홀하기가 마치 저 보산(寶山)이 아득히 높게 솟...


원문링크 관세음보살수기경, 觀世音菩薩授記經

 등록된 모든 글

자경문, 自警文, 불교입문 초발심(初發心)
고왕경 한자, 高王經
관세음보살수기경, 觀世音菩薩授記經
금광명경 4권, 金光明經 券四
금광명경 3권, 金光明經 三券
금광명경 1권, (金光明經)
금광명경 2권, 金光明經 二券
금광명경 목차, 金光明經 目次
불설업보차별경, 佛說業報差別經
약사여래본원경 한글, 藥師如來本願經
금강경 진언(金剛經 眞言)
반야심경(般若心經)
천수경(千手經 )
백팔대참회문 (百八大懺悔文)
삼십칠존예참문(三十七尊禮懺文)
법화경 약찬게 (法華經 略纂偈)
예불문 칠정례 (禮佛文 七頂禮)
금강경 사구게 (金剛經 四句偈)
능엄신주 한글 (大佛頂楞嚴神呪)
능엄신주(楞嚴神呪)
금강경 목차(金剛經)
아미타경 한문 (佛說阿彌陀經)
아미타경 한글(​佛說阿彌陀經)
무량수경우바제사원생게
지장보살본원경 한글, 地藏菩薩本願經
불정심 관세음보살 모다라니
불설수구즉득대자재다라니 (佛說隨求卽得陀羅尼)
약사여래본원경 한문(漢字)
지장경사구게 (地藏經 四句偈)
지장보살구족수화길상광명대 (地藏菩薩具足水火吉祥光明大)
지장보살 약찬게 한문 (地藏菩薩 略讚偈)
관세음보살보문품 한자(漢字)
화엄경약찬게 (華嚴經 略纂偈)
불설변조반야바라밀경, 佛說徧照般若波羅蜜經
불설수생경(佛說壽生經)
원각경 (圓覺經), 본각(本覺)
금강경 한자, 金剛般若波羅蜜經
금강경찬, 金剛經纂, 금강경 회향문
금강경 한글, 金剛經