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 장꾸학s_Tory] GTX-A 충북혁신도시역은 과연 어디 위치에 선정될까?(진천군과 음성군의 대립) 안녕하세요. 장꾸학입니다. 금리가 폭등하면서 집값때문에 많은 고민을 하시는분들이 많습니다. 실거주지로 집을 구매하는 사람들은 문제가 없지만, 투자목적으로 집을 구매하시는 분들은 집값이 하염없이 떨어지면 여긴 골치아픈게 아닙니다 물론, 내가 실거주지 목적으로 주택을 구입하신분들도 집값하락으로 이어지면 속상한건 마찬가지라고 생각합니다. 그래서 집은 어떤 인프라를 갖추고, 어떤 이점이 있는지 확인하시고 구매를 하셔야합니다. 오늘은 GTX-A노선중에서 충북혁신도시역이 어느위치에 정해질지를 알아보겠습니다. 우선 grx-a노선은 동탄-안성-진천선수촌-충북혁신도시-청주국제공항을 연결하는 광역철도입니다. 이 노선이 놓이게 된다면, 청주시와 진천군, 음성군도 수도권라인에 들어서면서 많은 발전을 가져다 줄 수 있는 중요한 철도사업입니다. 최근들어 정부가 운영하는 혁신도시중에서 가장 성공한 케이스로 불리는 충북혁신도시는 음성군 맹동면과 진천군 덕산읍이 함께 공존하면서 자리를 잡았습니다. 2024년기준 충북혁신도시는 대부분의 인프라상권은 진천군 덕산읍에 속해있는 충북혁신도시권이 더 우세합니다. 다만 소방병원이 음성군 맹동면쪽에 속한 충북혁신도시에 지어지며, 각 종 대규모 아파트단지들은 음성군쪽에 몰려있습니다. 이러하듯, gtx-a노선 충북혁신도시역이 어느위치에 지어질지는 아직 확정난 것은 없습니다. 이것은 음성군과 진천군의 대립관계로 역 하나가 어느군에 속해지느냐에 따라서 많은 변화를 가지고 옵니다. 예시로 천안아산역을 생각하시면 그 결과가 어떻게 다가올지 가늠이 되실꺼라고 생각합니다. 충북혁신도시역 예상위치는? 현재 충북혁신도시 내에 gtx역을 지을만한 자리는 마땅치 않습니다. 이미 많은 건물들이 들어섰으며, 아파트단지가 몰리면서 충북혁신도시 중심가에 역을 세우는건 다소 무리가 있습니다. 필자는 충북혁신도시역이 생길만한 위치를 굳히 꼽자면, 진천군 덕산읍 방향 혹은 음성군 대소면 부윤리 방향쪽으로 예상을 합니다. 진천군 덕산읍방향은 충북혁신도시로 가는 길목이 일자도로이며, 아직 주변에 건물을 지을 수 있는 터가 있습니다. 또한, 가까운 본성리에 아이파크가 지어지면서 충북혁신도시역이 세워진다면 그 인프라영역이 충북혁신도시의 확장을 이룰 수 있습니다. 음성군 대소면 부윤리방향은 진천군 혁신도시를 버리고 철저하게 음성군이 충북혁신도시역을 가지고 온다는 가정하에 가장 적절한 위치라고 생각합니다. 음성군 맹동면쪽 혁신도시는 아직 개발을 할 수 있는 공터가 많으며, 가까운 성본산업단지에 5000세대의 대규모 아파트단지가 들어서면서 철도역의 인구유입과 활성화를 기대할 수 있습니다. 추가로 대소면 소석리에 sk뷰아파트와 이안음성대소아파트 그리고 음성예다음아파트가 지어지면 2000세대 규모의 단지가 형성되면서 도합 7000세대의 음성군민들이 혁신도시역을 활성화 시킬수도 있다고 생각합니다. 이미 진천군은 gtx노선을 하나를 가지고 있다. 그래서 충북혁신도시역은 음성군이 가져갈 가능성이 크다. 진천군은 광혜원면에 위치한 진천선수촌에 gtx노선이 확정되면서 이미 노선을 보유한 상태입니다. 더불어 진천선수촌인근에 한국체육대학교 지방캠퍼스가 지어질 예정이기때문에 진천군의 인구유입이나 지역경제 활성화는 따논 당상입니다. 그래서 충북혁신도시역마저도 진천군 덕산읍에 위치한 쪽으로 지어지면 음성군은 설 자리가 없어집니다. 하여, 음성군이 gtx노선을 하나쯤은 가지고 가지 않을까?라고 조심스럽게 예측해봅니다. 충북혁신도시역이 지어지면 집값이 올라갈까? 무조건 올라갑니다. 충북혁신도시뿐만 아니라 인근에 위치한 음성군 금왕읍과 대소면,맹동면 그리고 진천군 덕산읍,진천읍내까지도 영향을 받습니다. 단적으로 이천에 전철이 수도권이랑 연결되면서 주변지역의 부동산가치가 올라간걸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
원문링크 [부동산 장꾸학s_Tory] GTX-A 충북혁신도시역은 과연 어디 위치에 선정될까?(진천군과 음성군의 대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