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장꾸학입니다. 오늘은 신용회복위원회 절차에서 중요한 상각채권 가운데 우리카드 사례를 필자의경험담을 통해 정리해보겠습니다. 개인회생이나 채무조정을 고민하시는 분들께 도움이 되길 바랍니다. 상각채권이란?그리고필자의 우리카드채권원금감면 결과 상각채권은 금융사가 채무자가 상환하기 어렵다고 판단해 회계상 손실 처리한 채권을 말합니다. 그래서 신용회복을 준비하는분들에게 상각여부는 매우 중요한 기준이 됩니다.필자가 보유했던 우리카드 채권은 44,974,677원(이자포함)이었고, 최종적으로 70% 원금감면을 받아 11,905,156원만 상환하는 조건으로 확정되었습니다. 상환조건은 96개월 분납으로, 현실적으로 갚을 수 있는 수준이었습니다. 상각채권 편입까지 걸린 시간상각 편입 과정 개인회생을 접수한 시점은 2022년 3월12일입니다. 이때부터 연체기간이 계산되었고, 약 6개월반이 지난 뒤에 우리카드 채권이 상각채권으로 바뀌었습니다. 다른카드사에 비해 다소 늦게 상각이 진행된 사례였습니다.상각 편입과정을 순서대로 요약하면 다음과 같습니다.ㅡ>3월 9일 : 연체 등록 시작, 토스 알림 확인ㅡ>6월 8일 : 채무불이행정보 등록이 되면서,장기연체자로 전환ㅡ>8월 1일 : 개인회생 개시결정 공고ㅡ>9월 28일 : 채권자집회 참석ㅡ>9월 30일 : 카드해지 알림ㅡ>10월 1일 : 새로운 대출알림과 함께 상각채권 편입확정되었으며, 이후 앱에서 잔액 0원 처리 및 카드 조회 불가 확인이 과정을 보면, 채권자집회 참석 후 확약서 공고가 나온 시점이 상각채권 전환의 핵심포인트였습니다.ㅡ>카드 잔액이 0원 표시ㅡ>카드자체가 해지ㅡ>새로운대출 알림발생이 세 가지 변화가 나타나면 상각채권으로 전환될 가능성이 있으므로 참고하셨으면 좋겠습니다. 상각은 누구에게나 동일하게 적용되지 않습니다. 경우에 따라 채권이 매각되거나, 재산,급여압류로 이어질 수도 있습니다. 따라서 단순히 상각만을 목표로 장기간 연체하는것은 위험할 수 있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