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장꾸학입니다. 신용회복위원회에서 중요한 상각채권 중에서도, 특히 국민카드 상각채권이 어떻게 변동되는지 필자의 실제 경험담을 바탕으로 본 포스팅을 작성하는 바입니다. 또한, 필자는 코인으로 인한 과도한 투자로 인해 1억8천만 원의 채무를 안고, 개인회생과 개인워크아웃 과정을 겪으면서 느낀점들을 여러분들께 공유드립니다. 이 포스팅은 단순한 정보전달이 아니라, 실제경험을 토대로 작성했기 때문에 채무로 힘들어하시는 분들께 큰 도움이 될 것이라 믿습니다. 국민카드 채무의 감면율과 상각여부그리고상각채권 변동 과정 필자가 가진 국민카드 채무는 두 가지로 나눌 수 있었습니다.카드대금은 70% 원금감면을 받고 상각채권으로 편입되었으며, 장기카드론은 30% 원금감면만 받고 미상각채권으로 남았습니다. 즉, 카드대금은 완전히 상각채권으로 처리되었으나, 카드론은 끝까지 남아 개인워크아웃에서 일부만 감면받을 수 있었습니다.상각채권 변동 과정을 기간별로 정리해서 공유드리겠습니다. 22년 3월 9일 ㅡ>국민카드 연체알림 등록으로 카드사용이 정지22년 3월 12일 ㅡ>개인회생 접수22년 5월ㅡ>국민카드에서 부동산가압류 진행 (5월 26일 결정문 수령받았습니다)22년 6월 3일ㅡ>장기연체자 등록 알림 (카드론은 늦게 등록된 것으로 추정됩니다)22년 8월 1일ㅡ>개인회생 개시결정 공고 22년 9월 28일ㅡ>채권자집회 참석과 동시에 국민카드 어플에서 상각일자 확인하였습니다. 22년 9월 29일ㅡ>토스 알림에서 카드값 연체해제알림이 뜨는동시에 카드대금 상각확정되었으며, 카드앱에서도 카드대금 0원 처리 확인완료했습니다. 국민카드상각채권 확인방법그리고부동산가압류 사례 국민카드는 다른 카드사와 다르게 상각채권 유무를 직접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국민카드 앱어플 ㅡ>상환관리 ㅡ> 상각채권 메뉴에서 직접 확인가능하다는 점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필자의 경우 상각일자가 22년 9월 28일로, 채권자집회 당일이었습니다.국민카드는 또한, 필자를 상대로 부동산가압류까지 진행했습니다.그럼에도 불구하고 카드대금은 상각채권으로 처리되었다는점에서 매우 큰 의미가 있습니다.즉, 가압류가 걸려 있어도 “채권은 상각될 수 있다”는 사례라고 보시면 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