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우리 동네 재개발될까?2030 서울 정비기본계획 해부 “우리 동네는 재개발될까?” 서울시민이라면 한 번쯤 궁금해했을 "우리 동네 재개발 가능성은?", "앞으로 정비사업 어디서 이뤄질까?"에 대한 공식적인 기준, 서울시 2030 도시·주거환경정비 기본계획을 기반으로 정비 예정 구역과 기대 단지를 정리해보겠습니다. 2030 정비기본계획이란 서울시는 약 10년 단위로 도시 전체의 주거환경과 정비방향을 종합적으로 계획하는 ‘도시·주거환경정비 기본계획’을 수립합니다.2030 정비기본계획은 2022년 6월에 고시되었으며, 오세훈 시장 체제 하에 “선(先)계획·후(後)정비” 원칙에 따라 정비수요와 주거환경 개선을 선제적으로 반영한 것이 특징입니다. 이 계획은 무분별한 재개발을 막고, 동시에 노후주거지의 주거환경을 체계적으로 개선하는 데 중점을 두고 있습니다. 이는 단순한 행정문서가 아닌, 서울의 재건축·재개발 사업에 있어서 ‘가이드라인이자 필터’로 작용하며, 각 단지의 사업 가능성, 방식, 공공기여 수준을 결정짓는 핵심 잣대입니다. 2030 정비기본계획계획 수립 주체: 서울특별시계획 수립 시기:초안 마련: 2020년 하반기공청회 및 의견 수렴: 2021년 상반기고시 확정: 2022년 1월 6일계획 적용 기간: 2022년 ~ 2030년당시 서울시장: 오세훈 시장 (2021년 4월 재보궐선거를 통해 복귀한 후 본격 추진) 서울시 자치구별 정비예정구역 요약 자치구 정비예정구역 주요 지역 주요 정비유형 특징 강남구 ...
원문링크 서울 재건축 재개발 유망주|개포·목동·중계동 주요 단지로 본 정비 방향 (ft. 2030 정비기본계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