멜론 한 동으로 얼마나 벌 수 있을까? 수익보다 중요한 건 '현실적인 계산'이라고 판단, 지난 3개월 동안 내가 직접 재배하며 얻는 실제 데이터를 정리해봤다. 1편 : 여름 멜론 재배 1편| 육묘부터 밭 준비, 흰 가루병 저항성 품종 추천https://blog.naver.com/thinker_farmer/2240310284402편 : 장마 속 멜론 농사|수정벌 없이도 수정된 이유https://blog.naver.com/thinker_farmer/224032717487 멜론 하우스 1동에 몇주 정도 심겨질까 멜론 1동에는 몇 주가 들어갈까? 멜론 하우스 1동에는 1,000주~1,200주가 들어간다. 하우스 환경에 따라 다르겠지만 보통 1,000주 기준으로 계산했다. 그럼 멜론 종자는 얼마할까? 종자비는 1,000립에 18만원이 들었다. 시기에 따라 가격은 다르지만 보통 육묘장에서 실생묘를 사면 1주당 400~500원 수준이다. 지인은 실생묘를 1주당 460원에 구입했는데, 내 경우는 직접 육묘를 했으니 모종비 28만 원을 절약한 셈이다.*참고로 접목묘와 실생묘는 가격차이가 남, 접목이 200원 정도 더 비싼 편단, 직접 육묘하는 건 관리비용과 리스크가 존재한다. 온도, 수분 관리가 어려워 실패하게 된다면 손실이 더 커진다. 관리 방법에 따라 보이지 않는 추가 비용이 계속 발생할 수도 있다. 그래서 실제 수익 계산에서는 노동력 비용을 제외한 순수 경영비 기준으로 보는 게 맞다. 멜론 판매 루트와 실제 매출 농사의 매출은 단순히 숫자로 판단 할 수 없다. 농사로 돈을 벌었다고 이야기하는 사람들의 매출 금액은 사실 허수가 많다. 선지출, 후지출로 빠져나가는 숨은 지출도 많고, 감가상각비도 책정하지 않기 때문이다. 그러니 순 수익을 더 따져야 하는데 이건 뒤에서 자세히 다루겠다. 밭준비부터 전부 돈이다 농사로 얻을 수 있는 매출부분은 뻔하다. 공판장이나직거래, 계약재배, 지역 유통 채널 판매 등이 있다. 물론 부가적으로 체험활동비, 가공품, 유통 등 다양한 부가 수익도 있지만 메인이라고 할만한 수준은 아니다. 결국 판매 루트에 따라 순이익 구조가 완전히 달라진다.멜롱은 무게별로 단가가 다르다. 아래 내용은 내 기준이니 참고만.*친환경 농산물 계약 재배시 적용되는 단가대(2kg 이상): 7,500원중(1.5~2kg): 6,000원소(1~1.5kg): 4,000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