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스트메이트

양극화로 치솓는 대한민국 소비 | 장사의 비법

양극화로 치솓는 대한민국 소비 | 장사의 비법

네이버 블로그 · 2024년 12월 16일

패션업계에서 저가 브랜드 혹은 고가브랜드 둘 중 어디에도 속하지도 않는 중가브랜드는 살아남지 못한다는 기사를 봤다.청년부부 또한 그런 패턴에 너무나 익숙해져있다는 생각을 했고, 만약 내가 어떤 상품을 팔게 된다면 어떤 전략으로 가야할지에 대해 생각을 해봤다. 소비의 양극화를 이용하는 장사의 비법 소비의 양극화는 비싸거나 싸거나 혹은 싸거나 비싸거나, 모 아니면 도라는 인식이 팽배해졌다.그 원인에 대해 청년부부의 생각은 다음과 같다.1인 가구의 급증SNS의 보급고물가고물가 이야기는 뭐 다들 어림짐작하고 아는 내용일테니 제외하고 이야기해보자.1인 가구의 급증과 SNS의 발달은 서로 구별해서 이야기할 수 있는 문제는 아니다. 월급은 그대로인데 고물가로 인해 1인 가구들은 생계에 힘듦을 겪고있다. 그래서 결혼도 포기하고 출산율도 저 아래로 급락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이는 우리나라가 가장 강하긴 하지만, 우리나라 뿐 아니라 전 세계적으로 겪고 있는 현상이라는 점을 값싼 라면 수출률의 급증이 이를 증빙해준다. 국내 시장은 좁다! 오뚜기, 세계 2위 라면 시장 인도네시아 진출 - 비즈팩트 > 기사 – THE FACT 인건비가 싸다는 인도네시아의 환율, 인도네시아도 저환율이었던 적이 고작 몇년 안된다.

##소비양극화##장사의비법##장사하는법#

같은 블로그의 다른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