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론 임대 계약, 단순히 보증금과 월세만 합의하면 끝이라고 생각하시는 분들 많으시죠.현장에 있다 보면 종종 이런 질문을 듣게 됩니다.“그냥 월세랑 보증금 써넣고 도장 찍으면 되는 거 아닌가요?”그런데 실제로는 계약서에 있는 조항 하나 때문에월세가 예상보다 훨씬 오르거나,권리금을 통째로 손해 보거나,퇴거할 때 보증금을 돌려받지 못하는 상황까지도 벌어집니다.이런 문제는 나중에 알게 되면 늦어요.계약 전에 미리 확인하고 조정할 수 있는 부분이니까요.오늘은 저희 Urban Realty가 현장에서 자주 겪은 사례를 바탕으로,계약서 사인 전에 꼭 확인해야 할 법적 조항 5가지, 간단히 정리해 드릴게요. 계약서를 검토하는 공인중개사와 임차인 목차 임대료 인상 조항 – 월세가 자동으로 오르는 구조?중도 해지 조항 – 나가려면 얼마나 내야 할까요권리금 조항 – 물려줬다고 다 돌려받을 수 있는 건 아닙니다보증금 반환 조항 – 언제, 얼마가 돌아올지 조항에 따라 달라요관리비 및 공과금 – '관리비 포함'이란 말, 진짜 포함일까요? 1. 임대료 인상 조항 월세가 자동으로 오르는 구조? 상가임대차보호법에서는 임대료 인상률이 연 5%를 초과할 수 없다고 정해져 있습니다.그런데 계약서에는 이런 말이 쓰여 있곤 합니다.“매년 10만 원씩 자동 인상”“2년 후 시장가 반영”이런 특약이 있으면, 아무리 법이 있어도 임차인은 매년 인상되는 월세를 감수하게 됩니다.⭐ 확인하세요:자동 인상 구간이 있는지 (특히 2년 고정 후 조정 구조)5% 이상 인상이 정기적으로 명시돼 있지는 않은지“시장가 반영”이라는 표현이 들어간 경우, 기준이 있는지‼️ 중개사가 자주 드리는 조언협상 시 ‘초기 고정 + 이후 협의’ 구조로 바꾸는 것, 임차인 입장에서는 훨씬 유리합니다.그리고 반드시 숫자(%)로 명확히 적어두세요. 2. 중도 해지 조항 나가려면 얼마나 내야 할까요 생각보다 장사가 안 되거나, 반대로 너무 잘돼서 더 큰 곳으로 이전해야 하는 상황.이럴 때 중도 해지를 할 수 있느냐, 그리고 위약금은 어떻게 계산되느냐가 핵심입니다.⭐ 반드시 체크:위약금 조항: “잔여 임대료 전액 청구” 구조인지?해지 통보 기한: 3개월 전? 2개월 전? 혹은 협의 가능한지임대인이 해지를 통보할 수 있는 사유가 있는지 (예: 건물 매각 등)‼️중개사 경험 팁실제 현장에서는 해지 조항이 애매하게 돼 있어서 분쟁 생기는 경우 정말 많습니다.나가는 사람도, 받아야 할 사람도 서로 애매하니까요.이런 부분은 ‘계약 전 협의’로 조율할 수 있다는 걸 기억하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