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스트메이트

[공지] 인테리어 공사, 왜 방문 상담이 필수일까? 예산·견적 함정 피하는 꿀팁 총정리

[공지] 인테리어 공사, 왜 방문 상담이 필수일까? 예산·견적 함정 피하는 꿀팁 총정리

네이버 블로그 · 2025년 3월 18일

안녕하세요, 퇴마왕전솔이다입니다. 요즘 봄을 맞아서 인테리어 공사 문의가 늘어나고 있습니다. 그래서 해당 글을 준비했습니다. 인테리어 공사를 앞두고 계시다면 잠시 시간 내서 읽어보세요. 조금이라도 도움이 되길 바랍니다. 인테리어 공사라는 게 계획부터 시공까지 절대 쉬운 일이 아닙니다. 기본이 수천만 원, 많게는 억 단위까지 가는 살면서 몇 번 안되는 큰 소비 순간이기도 합니다. 이런 중요한 순간에 10년, 혹은 평생 살 집인데, 가까운 업체에 대충 맡길 수는 없겠죠? 그래서 여러 군데 알아보지만, 업체마다 조건과 금액이 제각각이다 보니 오히려 더 혼란스러워지기 쉽습니다. 이건 인테리어 업체들이 앞으로 개선해야 할 부분이기도 하고요. 처음이라 더 어려운 인테리어 계획 By 퇴마왕전솔이다 우리는 평생 동안 인테리어 공사를 몇 번이나 해볼까요? 이 글을 읽고 계신 분들은 대부분 처음이실 거예요. 공사를 여러 번 해보신 분이라면 이미 공사를 해봤던 업체에 연락하셨겠죠. 처음이다 보니 어떻게 계획해야 할지도 막연할 수밖에 없습니다. 다행히 요즘에는 인터넷에 정보가 많아서, 상담 오시는 분들 중엔 이미 어느 정도 디자인 컨셉을 갖고 오시는 경우가 늘고 있어요. 인테리어 예산을 가늠하기 어려운 이유 By 퇴마왕전솔이다 그렇다면 이렇게 어려운 인테리어 공사, 특히 예산 계획을 어떻게 짜야 실패 확률을 줄이고 효율을 높일 수 있을까요? 인테리어 공사에서 특히 어려운 것이 자신이 원하는 인테리어를 하기 위해서 필요한 적절한 예산을 가늠하는 것 입니다. 실패 확률을 줄이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요? 사실 대부분이 ‘여기저기 문의하고 비교하는 것’이 정답이란 걸 알고 계세요. 문제는 질문법이 잘못돼서 함정에 빠지는 경우입니다. 30평대 아파트 보통 수준으로 하면 얼마나 들까요?40평 아파트 인테리어 하려고 하는데 평당 얼마에요? 이렇게 물으면 어떤 업체는 “3천이요”, 어떤 곳은 “4천이요”, “평당 200만 원이요”처럼 제각각 답합니다. 그런데 “내가 뭘 할지 아직 모르는데, 어떻게 금액이 딱 나올 수 있지?”라는 의문이 드는 게 정상입니다. 그래서 조금 더 구체적으로 "15년된 아파트, 창호까지 포함해서 싱크대, 욕실, 방문, 몰딩, 조명 전부다 교체하고, 안방 붙박이도 하려고 합니다. 얼마일까요?" 질문을 할 수도 있습니다. 이렇게 질문 하셔도 처음 질문과 차이가 없습니다. 왜냐하면, “어디를” 할 건지가 아니라 “어떻게” 할 건지가 더 중요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조금 더 구체적으로 이야기해도 “어떻게” 할지를 구체화하지 않으면 실제로는 크게 달라지지 않습니다. "보통 수준"사람마다 당연함의 기준이 다르다. “고급 자재 안 쓰고, 보통 수준으로 해주세요”라고 말씀하셔도, 업체마다 생각하는 ‘보통 수준’이 다릅니다. 어떤 곳은 저가 자재·작업자로 계산할 수도 있고, 어떤 곳은 고급 자재·숙련된 팀을 염두에 둘 수도 있죠. 사람마다 당연함의 기준이 다르기 때문입니다. 그러니 금액 차이가 커지는 건 당연하고, 일반적인 고객은 그 차이를 알 방법이 없습니다. 대부분의 고객은 여러 업체의 견적서를 보더라도 무슨 내용인지 알기가 어렵습니다. 그래서 결국은 견적서에서 총공사비용만 비교해버립니다. 대부분은 금액이 저렴한 곳을 “똑같은 공사를 더 싸게 해주는 곳”으로 여기게 되고, 상대적으로 높은 견적을 준 업체는 “바가지 씌우는 곳”처럼 느끼기 쉽습니다.

같은 블로그의 다른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