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오늘은 최근 주가가 요동치고 있는 와이팜에 대해 이야기해볼게요. 5G 시대의 숨은 강자라고 할 수 있는 와이팜, 들어는 보셨나요? 이름은 생소할지 몰라도 여러분이 쓰는 스마트폰과 곧 타게 될 자율주행차에 들어가는 핵심 부품을 만드는 기업이랍니다. 와이팜, 통신부품 강자에서 자율주행 핵심 기업으로 와이팜은 2000년 설립되어 2020년 코스닥에 상장한 기업으로, 이동통신용 전력증폭기 모듈(PAM)과 RF 프론트엔드 모듈(RFFE)을 개발, 제조, 판매하는 기업입니다. 특히 5G 무선주파수 전력증폭기 모듈 분야에서 독보적인 기술력을 인정받고 있죠. 와이팜 로고 재무적으로도 탄탄한 성장세를 보이고 있는데요, 2024년 매출액은 1221억원으로 전년 대비 무려 79.1% 증가했고, 영업이익은 106억원으로 66.0% 늘었습니다. 컴퓨터/주변기기 업종 내에서도 시가총액 1,669억원으로 3위, ROE는 26.8%로 1위를 차지하고 있어 업계 내 선두주자로 자리매김하고 있습니다. SWOT 분석: 와이팜의 강점과 약점 강점(Strengths)도허티 방식의 단말용 전력증폭기 초고주파 회로 설계 기술 보유국내 유일 글로벌 기업에 RF 관련 부품 공급 기술력 확보업종 내 ROE 1위, 영업이익률 상위권 유지약점(Weaknesses)주식 평가손실로 인한 당기순이익 적자 전환자금 조달을 위한 유상증자로 인한 주식 가치 희석 가능성기회(Opportunities)북미 전기차 업체 차세대 모델 EPM 공급 확정트럼프 행정부의 자율주행 규제 완화 전망미국의 중국·러시아산 자율주행 부품 사용 금지 정책위협(Threats)글로벌 5개사가 과점하는 치열한 시장 경쟁주가 변동성 증가로 인한 투자 리스크 수익 구조와 현재 이슈 수익 구조와이팜의 주요 수익원은 모바일용 RF 프론트엔드 모듈(94.88%)과 차량용 RF 프론트엔드 모듈(4.61%)입니다. 특히 주목할 점은 기존 LTE 대비 마진이 높은 5G 기반 통신모듈 채용이 확대되는 추세라는 것이죠. 이는 와이팜의 수익성 개선에 크게 기여하고 있습니다.현재 이슈와 로드맵가장 큰 이슈는 북미 전기차 업체의 차세대 모델에 '완전 자율주행 핵심' EPM 공급이 확정된 것입니다. 2026년 상반기 출시 예정인 이 모델에 와이팜의 기술이 탑재될 예정이며, 퀄컴, 코보, 스카이웍스 등 글로벌 기업들과의 경쟁에서 기술력과 가격 경쟁력을 인정받아 최종 선정되었다고 합니다.또한 와이팜은 최근 165억 원 규모의 제3자배정 유상증자를 통해 자금을 조달했는데, 이 중 59억 원은 운영자금, 106억 원은 채무상환자금으로 사용될 예정입니다. 특히 상환전환우선주(RCPS) 발행을 통해 기존 주주의 지분 희석을 최소화하면서 자금을 조달하는 혁신적인 방식을 도입했다는 점이 주목할 만합니다.

와이팜 주가 전망, 5G 넘어 자율주행까지... 투자 타이밍은?
네이버 블로그 · 2025년 3월 23일